[나태주의 풀꽃 편지] 라이벌에 대하여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25-11-13 00:28
입력 2025-11-13 00:28

“상대의 키를 내 키에 맞춰 낮추
려고 하는 마음이 시기와 질투
라면 선망은 내가 까치발을 딛더
라도 같아지려고 애쓰는 마음”

흔히 사람들은 생각한다. 식물의 세상은 평화롭고 아름답다고. 그러나 그것이 정말일까? 전혀 그렇지 않다. 식물의 세상에도 다툼이 있고 갈등이 있고 싸움이 있다. 다만 멀리서 숲이나 풀밭이나 꽃밭을 객관적으로 무심하게 바라보기만 해서 그런 것이다.

실은 이것도 풀꽃문학관을 운영하고 10년 넘게 정원을 가꾸면서 알게 된 일이다. 일껏 귀한 꽃이라 해서 심어 놓으면 그 꽃만 골라서 죽는다. 아니, 다른 꽃들에 치여서 조금씩 위축되다가 끝내 사라지고 만다. 특히 용담류의 꽃이 그렇고 두메양귀비가 그렇다.

가끔 꽃밭에 엎드려 풀을 뽑아 주다 보면 문학관을 찾아오는 손님 가운데 그렇게 말하는 사람이 있다. “아니, 풀꽃문학관이라면서 왜 풀꽃을 뽑고 계시나요?” 그러면 나는 이렇게 대답해 준다. “풀꽃 때문에 풀꽃을 못 볼 것 같아서 풀꽃을 뽑아 주고 있는 중이랍니다.” 그러면 손님은 이해되지 않는다는 듯 고개를 갸우뚱한다.

문맥으로만 보아서는 모순이다. 그래도 사실인 걸 어쩌랴. 내가 원하는 풀꽃, 보고자 하는 풀꽃을 위해서는 그 곁에 있는 풀꽃을 제거해 주어야만 한다. 조금만 방치하면 다른 풀꽃이 그 풀꽃을 덮어 누르며 자란다. 그런 상태가 조금만 지속되면 내가 기르는 풀꽃은 삭아서 없어지고 만다.

이것은 생명력의 문제다. 사람이 귀하게 여기는 풀꽃일수록 생명력이 약하고, 사람이 원하지 않고 귀하지도 않은 풀꽃일수록 생명력이 강하다는 것. 그래서 식물의 세상에도 다툼이 있고 불화가 있게 마련이다. 내가 좋아하는 말 가운데 송무백열(松茂栢悅)이란 말이 있는데, 이 말 또한 맞지 않다. 생각해 보면 모든 생명체는 경쟁, 다툼, 상호 비교가 기본적 속성이지 싶다.

그것은 인간 세계도 마찬가지다. 부모는 자식들에게 우애를 권하고 교사는 학생들에게 우정을 가르치지만 그것은 예나 이제나 희망 사항일 뿐이고 그 성취는 요원한 문제이다. 슬하자식(膝下子息)이란 말이 있듯 부모님 무릎 아래 우리가 어려서 나란히 앉았을 때만 형제자매이지 부모님 떠나시고 나면 남남이나 마찬가지로 소원한 관계가 된다. 그런 사정이야 학교 선생님과 제자들 사이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솔직히 말하자. 이 세상에 진정한 우정이 어디 있으며 변하지 않는 형제애가 어디 있겠는가! 다툼이나 경쟁이나 비교의 대상은 놀랍게도 한 집안에서 형제자매로부터 비롯된다.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는 말이 그것을 일러 준다. 하지만 잠시 발길을 멈춰 생각해 보자. 끝까지 그렇기만 한가?

경쟁이나 다툼이나 비교하는 마음 옆에 생기는 이차적인 마음으로는 시기와 질투와 선망의 마음이 있다. 단어 풀이대로 시기는 ‘남이 잘되는 것을 샘하여 미워하는 마음’이고, 질투는 ‘다른 사람이 잘되거나 자신보다 앞서서 좋은 위치에 있는 것을 시기하여, 미워하며 깎아내리는 마음’이다. 시기와 질투는 엇비슷한 마음이다.

이에 비하여 선망은 어떤가? ‘부러워하여 바라는 마음’이 선망이다. 말하자면 상대방의 키를 나의 키에 맞추어 낮추려고 하는 마음이 시기와 질투라면, 선망은 내가 까치발을 딛더라도 상대방의 키와 같아지려고 애쓰는 마음이다. 어차피 경쟁과 다툼과 비교가 생명 가진 존재의 속성이라면 우리는 마땅히 시기, 질투 쪽보다는 선망 쪽을 선택해야만 할 것이다. 그것이 나를 위해서도 좋고 남을 위해서도 좋은 일이다. 이렇게 선망하는 대상을 나는 라이벌이라고 말하고 싶다.

라이벌은 우리말로는 맞수. 나는 젊은 시절 시를 쓰면서 좋은 라이벌, 좋은 맞수를 여러 사람 가졌다. 가까이 이성선, 송수권 같은 시인이 그렇고 조금 멀리 조정권 같은 시인이 그러했다. 늘 그들의 작품이 좋아 보였다. 그래서 나는 그들의 시집이나 그들 작품이 실린 잡지를 가방에 넣어 가지고 다니면서 모서리가 닳도록 읽었다. 말하자면 선망을 택한 것이다.

뿐더러 우리집 아이들을 기르면서도 나는 시기, 질투하지 말고 선망하라고 가르쳤다. 그러하다. 시기와 질투가 불화를 가져온다면 선망은 그런대로 평화로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렇다면 옛 어른들이 말씀하신 송무백열은 다시 한번 옳은 말씀이 아닌가 싶다.

나태주 시인

이미지 확대
나태주 시인
나태주 시인
2025-11-1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