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깔롱진’ 커피/정기홍 논설위원
정기홍 기자
수정 2015-03-14 00:29
입력 2015-03-14 00:02
50대 중반의 부산 사람에게 물었더니 ‘갈롱’이 맞는 게 아닌가 한다. 사전에도 갈롱이 ‘간능’(幹能)의 잘못이고, 재간 있게 능청스럽다는 뜻으로 풀이해 놓았다. 경남 하동이 배경인 소설 토지에는 “우리가 천성으로 잘 산다꼬 갈롱을 피울 사람들가…갈롱 피는 그 꼬라지 눈이 씨어서 못 보겄더마는”의 대목이 나온다. 사투리가 경음화한 것으로 보인다. 후배는 “아름다움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칼론(kalon)의 뜻도 같이 담았다”고 했다. 사투리와 외국말을 오가고 말소리에도 커피숍 분위기가 물씬한, 톡톡 튄 상호 선택이 탁월하다. 후배가 끓여 내는 깔롱진 커피 맛이 손님들 입맛에 딱 들어맞기를 바란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5-03-14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