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스트롱제로 문학/황성기 논설위원

황성기 기자
수정 2017-12-28 22:38
입력 2017-12-28 22:30

도쿄의 시부야 같은 젊은이들이 모여드는 거리에서는 스트롱 계열의 캔을 든 20대 모습이 곧잘 눈에 띈다고 한다. 500㎖ 한 캔에 150엔, 350㎖는 108엔에 10도 전후의 강한 알코올을 섭취할 수 있어 ‘마법의 물’, ‘과일’이란 찬사에서부터 ‘마시는 빈곤’, ‘헤이세이 시대의 필로폰’ 등의 부정적인 표현까지 폭넓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일본 사회가 안고 있는 연금문제, 노인 돌봄, 스트레스, 노후 등 장래의 불안, 저임금, 취업, 폐쇄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고민을 ‘마법의 물’로 해소하고 있는 셈이다. 그래서 최근 5년간 스트롱 계열 주류의 시장 규모는 2배로 급성장했다.
일본 공영방송 NHK가 그제 스트롱제로 문학을 뉴스로 다뤘다. 시인이자 사회학자인 미나시타 기리우는 방송에서 “불안이나 고독감, 스트레스를 표출할 수 있는 좋은 도구이자 살짝 모험, 일탈을 즐길 수 있게 해준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유행 이유는 “(일본 사회가) 잘못된 부분을 용인해 주는 여유가 그만큼 모자라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소주의 알코올 도수를 갈수록 낮추는 한국과 대조적으로, 높은 도수의 알코올을 선호하게 된 일본의 ‘술 권하는 사회’ 원인이 무엇인지 우리에게 반면교사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marry04@seoul.co.kr
2017-12-2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