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신설 돌던 이란 하메네이 ‘12일 전쟁’ 이후 첫 공개석상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수정 2025-07-06 23:54
입력 2025-07-06 23:54

테헤란서 열린 시아파 행사 참석
성직자들 “시오니즘에 굴복 안 해”

이미지 확대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가 5일(현지시간) 테헤란에서 열린 이맘 후세인 순교 애도 의식에 참석해 열광하는 참석자들에게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테헤란 EPA 연합뉴스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가 5일(현지시간) 테헤란에서 열린 이맘 후세인 순교 애도 의식에 참석해 열광하는 참석자들에게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테헤란 EPA 연합뉴스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가 이스라엘과의 ‘12일 전쟁’ 이후 처음으로 5일(현지시간) 테헤란 종교 행사에 참석하며 공개석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이란 국영TV는 하메네이가 시아파 무슬림의 중요 기념일인 ‘아슈라’를 하루 앞둔 이날 1400년 전 이맘 후세인의 순교를 애도하는 의식에 참석했다고 보도했다. 검은 옷을 입고 행사장에 등장한 하메네이는 환호하는 수백명의 이란 국민에게 손을 흔들고 고개를 끄덕인 뒤 자리에 앉았다. 따로 연설은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참석자들은 주먹을 치켜들며 그를 향해 “우리의 혈관에는 우리 지도자를 위한 피가 흐른다”고 외쳤다. 현장에는 이란 제1부통령, 국회의장 등 고위 당국자가 다수 참석했다.

이날 사회를 맡은 호자톨이슬람 마수드 알리 이란 시아파 성직자는 “이란은 무슬림 수호자가 이끄는 전 세계적 저항의 중심축이고, 시오니즘(유대 민족주의)은 거짓 전선의 주축”이라며 “이란은 절대 거짓 전선에 굴복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테헤란 시내에서 열린 종교 행사를 통해 23일 만에 모습을 드러낸 하메네이는 이스라엘군의 공습이 이뤄지는 동안 통신을 완전히 차단한 채 지하 벙커에 은신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스라엘의 표적 공습으로 이란에서는 30여명의 군 고위 간부와 핵 과학자 11명을 포함해 900명이 넘는 사람이 숨졌지만 하메네이는 총 3번의 영상 메시지만 내놓았다. 미국과 이스라엘 모두 하메네이 암살을 공공연하게 언급하면서 그의 부재는 무성한 추측을 낳았다.



반면 이란 반관영 타스님통신은 하메네이가 이스라엘과의 12일 전쟁을 직접 지휘했다고 주장했다. 모센 레자이 전 이슬람혁명수비대(IRGC) 사령관은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하메네이가 전쟁을 지휘하고 이끌라는 명령을 직접 내렸다”며 “이란은 주로 이스라엘의 군사 및 지휘시설만 공격하는 방식으로 특정 지역과 특정 목표물에만 반격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윤창수 전문기자
2025-07-07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