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최애 생선인데…“‘이것’ 먹다가 죽을 수도” 입원한 30대 사연
하승연 기자
수정 2025-07-29 19:00
입력 2025-07-29 19:00

베트남에서 고등어 요리를 먹은 30대 남성이 호흡곤란과 복통 등 증상이 나타난 뒤 아나필락시스(전신 알레르기 반응)로 병원에 긴급 이송되는 일이 발생했다.
28일(현지시간) VN익스프레스에 따르면 30대 남성 A씨는 지난 23일 고등어 요리가 들어간 식사를 한 뒤 약 4시간 후 복통과 설사,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호소하며 현지 의료기관을 찾았다.
통상적인 알레르기 반응에서 흔히 나타나는 피부 발진이나 가려움은 없었지만, 병원에서는 즉시 아나필락시스 쇼크로 진단하고 긴급 치료에 나섰다.
의료진은 아드레날린(에피네프린)을 투여하고, 호흡과 순환을 보조하는 약물을 투입하는 등 응급 처치를 시행했다. A씨는 한때 상태가 위중했으나, 현재는 위기 상황을 넘기고 집중 치료실에서 경과를 지켜보는 중이다.
보건센터 중환자실장은 “이번 사례는 전형적인 피부 증상이 없이도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 알레르기 반응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비특이적인 증상으로 인해 진단이 지연되거나 간과될 위험이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생선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물질은 ‘파발부민’(parvalbumin)과 ‘히스타민’(histamine) 두 가지다.
파발부민은 생선 단백질의 일종으로 면역 체계가 과민 반응을 일으키는 진성 알레르기 유발물질(알러젠)이다. 이 단백질은 열에 강하기 때문에 조리된 생선에서도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며, 고등어 외에도 다양한 어종에서 교차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히스타민은 생선의 보관 상태가 적절치 않을 경우 자연적으로 축적되는 물질로, 신선하지 않은 고등어나 참치 등의 어류에서 종종 발견된다. 이는 세균이 생선에 존재하는 히스티딘이라는 아미노산을 분해하면서 생겨나며, 고온에서 조리해도 사라지지 않는다.
보건 당국은 이번 사례가 정확히 어떤 물질에 의해 발생했는지에 대해서는 확인하지 않았지만, 섭취 직후 수 시간 내에 복합적인 증상이 나타났고, 중증 알레르기 반응으로 진행된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의료진은 “알레르기 반응은 식품뿐 아니라 약물, 곤충 독, 화학물질, 환경 요소 등 다양한 원인에서 나타날 수 있다”며 “특히 식품에 의한 아나필락시스는 가볍게 여길 수 있는 증상에서 급격히 악화되는 경우가 많아, 이상 증상이 나타날 경우 빠르게 병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평소 알레르기 이력이 있거나 생선 섭취 후 이상 증상을 경험한 적이 있다면, 해당 식품을 피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예방법이라고 조언한다. 또한 생선을 섭취할 경우에는 반드시 신선한 상태로 보관 및 조리해야 하며, 실온 방치나 해동 후 재냉동 등은 히스타민 축적 위험을 높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하승연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