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학생에서 커크 암살범으로… ‘정치 과몰입’이 범죄 불렀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임주형 기자
임주형 기자
수정 2025-09-15 00:56
입력 2025-09-15 00:56

상위 1% 수재… 정치 심취하며 범행
분노한 美보수, 진보 진영에 공세도
일각 “증오의 정치 끝내자” 목소리

이미지 확대
타일러 로빈슨. AFP 연합뉴스
타일러 로빈슨.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측근이자 32세 우파 청년 정치인 찰리 커크 살해 용의자로 20대 청년이 총격 사건 33시간 만에 가족의 신고로 체포됐다. 그는 장학금을 받고 대학에 입학할 정도로 모범생이었지만 정치에 심취하면서 범죄를 저질렀던 것으로 파악됐다. 커크의 죽음에 크게 분노한 미국 보수 세력이 진보 진영에 대대적인 공세를 가하는 등 이념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일각에선 ‘증오의 정치를 끝내자’고 촉구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13일(현지시간) 미국 CNN방송 등에 따르면 지난 11일 커크를 살해한 혐의로 체포된 타일러 로빈슨(22)은 상위 1%에 해당할 정도로 고교 학창 시절 성적이 우수했으며, 3만 2000달러(약 4400만원)의 장학금을 받고 유타주립대에 입학했다. 하지만 그는 한 학기만에 중퇴했고 한 기술대학 전기 기술자 견습 과정을 이수했다. 그는 점차 정치에 심취하면서 사석에서 커크를 강하게 비난했고. 총격 사건 직전에도 가족 모임에서 커크가 피격사건 현장인 유타밸리대에 온다고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로빈슨은 특정 정당에 소속되지 않아 무소속 유권자로 등록돼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백악관 수석 보좌관들은 커크 살해 사건 이후 민주당 등 반대자들에 대한 공격을 확대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 보수 성향 인플루언서들은 과거 커크를 비난했던 게시물을 올린 사람들을 공개하며 공세를 펼쳤다. 커크의 죽음을 조롱하는 글을 올림 사람들은 직장에서 해고되기도 했다.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미시시피대와 연방재난관리청 등 최소 12개 기관이나 기업들이 커크 사망과 관련해 소셜미디어(SNS)에 글을 올린 직원들에 대해 휴직 또는 해고를 결정했다.

반면 커크 암살 사건이 발생한 유타주 스펜서 콕스(공화당) 주지사는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폭력에 폭력을 돌려주고 증오에 증오를 돌려줄 수 있는데 그게 정치 폭력의 문제다. 분노가 유일한 선택지처럼 느껴지지만 우리는 다른 길을 선택할 수 있다”며 극단적인 대립을 중단하자고 촉구했다.

워싱턴 임주형 특파원
2025-09-1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