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때 日 민간인 전투 참여” 日언론, 美비밀문서 통해 첫 확인
김태균 기자
수정 2020-06-23 13:44
입력 2020-06-22 18:06

서울셀렉션 제공
마이니치는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에 보관된 ‘한국에서의 일본인 무허가 수송과 사용’이라는 제목의 843쪽짜리 미군 비밀문서를 바탕으로 작성한 기획기사에서 “한국전쟁 개전 직후인 1950년 7월쯤 일본 민간인 60명이 한반도에 도항했다가 1951년 1~2월 귀국했다”며 “이들 중 27명이 총, 칼 등 무기를 지급받았고 18명은 전투에서 이를 실제로 사용했다”고 전했다.
마이니치는 “한국전쟁 때 수중 기뢰 제거 및 후방 업무지원 등 과정에서 일본인 57명이 사망한 사실은 이미 알려져 있지만, 민간인이 실제 전투에 참가한 사실은 이번 비밀문서를 통해 새로 밝혀진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60명 중 48명은 당시 주일 미군기지 직원들이었으며 46명이 10~20대였다. 1명은 사망, 1명은 실종된 것으로 기록됐다. 마이니치는 이들의 도항 경위에 대해 “미군이 공식적으로 데리고 간 것이 아니라 개인적인 관계를 이용해 정식 허가를 받지 않고 대동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이 문서에 대해 방위성은 “사실관계를 알지 못하고 있어 답할 입장이 아니다”라고 마이니치에 밝혔다. 오누마 히사오 교아이가쿠엔마에바시국제대 교수는 “한국전쟁 당시 옛 소련과 북한이 ‘일본인들이 유엔군으로서 참전하고 있다’고 비난했지만, 직접 전투에 참가했다는 공식 자료는 발견된 적이 없었다”며 “자세히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2020-06-23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