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사람 똥’으로 마늘 재배”…美 의원 주장에 中 반응은?[핫이슈]

송현서 기자
송현서 기자
수정 2024-12-12 17:56
입력 2024-12-12 17:56
이미지 확대
중국산 마늘 논란. 자료사진
중국산 마늘 논란. 자료사진


미국의 한 상원의원이 중국산 마늘을 ‘공개 저격’하면서 마늘을 둘러싼 양국 갈등이 격화하고 있다.

12일(현지시간) 중국 현지 매체인 관찰자망은 “미국 의원이 중국산 마늘에 대한 경솔하고 비방적인 발언을 해 파장을 일으켰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릭 스콧 상원의원(플로리다)는 지난 10일 미 농무부에 보내는 공식 성명을 통해 “중국인들은 인분이나 (더러운) 하수로 마늘을 재배하고 비위생적인 조건에서 수확하며, 이러한 과정에 노예 및 아동 노동이 동원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중국산 마늘이 미국 시장에 넘쳐나고 있으며, 더욱 엄격한 위생 조건과 노동 규정을 준수하는 미국 생산자들의 이익에 해를 끼친다”면서 “중국산 마늘 수입 및 감독의 강도를 높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중국산 마늘은 미국 농업 공급망을 훼손하고 미국의 마늘 산업을 위험에 빠뜨리며, 더 나아가 미국의 식량 안보를 위협한다”면서 “미국 노동부는 ‘아동 노동 또는 강제 노동을 통해 생산된 제품 목록’에 중국산 마늘을 포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미지 확대
중국 관찰자망 12일자 보도 캡처
중국 관찰자망 12일자 보도 캡처


중국 언론은 스콧 의원의 주장을 전하며 “그는 과거부터 ‘중국산 마늘 위협론’을 퍼뜨려왔으며, 그의 주장은 중국산 식품에 대한 공포감 조성의 연장선상”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중국산 마늘의 미국 수입 금지가 이뤄진다면 마늘 가격이 상승해 미국 최대 마늘 생산지인 캘리포니아에 이익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관영매체인 환구시보는 “(미국이) 입만 열면 헛소리를 한다”며 격하게 비판했다.

스콧 의원이 지난해 “중국은 표백제를 이용해 마늘을 하얗게 만든다”면서 중국산 마늘을 ‘오물(sewage) 마늘’이라고 표현했다.

이에 당시 중국 관영매체인 글로벌타임스는 “뱀파이어에 관한 서양 전설을 제외하고, 마늘에 대한 이런 근거 없는 두려움을 갖는 사람은 찾아보기 쉽지 않다”고 비꼬았다.

한편, 미국 하원은 지난 11일 미국 군사 기지 내 매점에서 중국산 냉장 마늘과 생마늘 판매를 금지하는 내용을 포함한 법안을 통과시켰다.

새 법안 통과에는 중국으로 향하는 첨단 제품의 수출 제한뿐만 아니라 유해한 제품으로부터 시장과 미군의 안전을 보호해야 한다는 스콧 의원의 꾸준한 주장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송현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