젤렌스키 “러 침공 이후 살인·강간 등 전쟁 범죄 18만 건”…부차 방문 이유는? [핫이슈]

박종익 기자
수정 2025-04-01 10:27
입력 2025-04-01 10:27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러시아가 저지른 전쟁범죄를 부각하며 정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 31일(현지시간)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가 2022년 침공 이후 총 18만 3000건의 전쟁범죄를 저질렀으며 처벌받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날 키이우 북서쪽에 있는 부차를 방문한 그는 러시아군이 이곳을 점령하면서 민간인을 상대로 처형, 강간, 고문 등 잔혹 행위를 저질렀다고 주장했다.

앞서 러시아군은 개전 직후 부차 지역을 점령했다가 우크라이나군의 공세에 밀려 한 달 만에 퇴각했다. 이후 지역 곳곳에서 민간인들이 대규모 학살당한 흔적이 드러났다. 시신들이 길가와 마당, 건물과 집 안 등에 그대로 방치된 채 발견됐기 때문이다. 당시 외신들은 부차에서 400여구의 민간인 시신이 발견됐으며, 일부 시신은 두 손이 등 뒤로 결박된 상태였다고 전했다. 그러나 러시아 측은 부차에서 발생한 학살 의혹에 대해 “우크라이나의 자작극이며 조작된 것”이라고 주장하며 범행 사실을 전면 부인해왔다.

젤렌스키 대통령이 31일 부차를 찾은 것은 이날이 러시아군이 철수한 지 3주년이 되기 때문이다. 곧 민간인 학살 의혹이 있는 부차를 찾아 러시아군의 전쟁범죄를 직접 강조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그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침략과 관련된 범죄가 18만 3000건 이상 기록됐다”면서 “이 기록에는 현재 러시아가 점령하고 있는 우크라이나 영토 대부분은 포함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 국민과 유럽 사회 전체를 이 같은 위협으로부터 보호할 효과적인 국제법이 필요하다”면서 “사악함이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 정의가 실현되어야 한다. 러시아에 대한 압박과 제재는 전쟁이 더 이상 확대되지 않도록 하는데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