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수 농담 뒤 진짜 메시지…트럼프·알샤라 백악관 회동이 바꾼 중동 지도 [핫이슈]

윤태희 기자
윤태희 기자
수정 2025-11-14 09:43
입력 2025-11-14 09:43

농담 뒤엔 전략 있었다…美·시리아 첫 회담이 열어준 ‘전후 재편’의 문

이미지 확대
시리아 대통령실이 공개한 사진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악수하고 있다. 시리아 대통령실 제공·AP 연합뉴스
시리아 대통령실이 공개한 사진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악수하고 있다. 시리아 대통령실 제공·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대통령에게 향수를 직접 뿌리며 “부인은 몇 명이냐”고 묻는 장면이 공개됐다. 가벼운 농담처럼 보였지만, 1946년 시리아 독립 이후 처음 열린 양국 정상회담은 중동 외교 지형을 바꿀 수 있는 중대한 전환점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백악관서 향수 시연…가벼운 농담 뒤에 숨은 외교 신호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 집무실에서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대통령에게 직접 향수를 뿌려주며 농담을 주고받는 장면. 엑스(X) 영상 갈무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 집무실에서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대통령에게 직접 향수를 뿌려주며 농담을 주고받는 장면. 엑스(X) 영상 갈무리


허프포스트는 13일(현지시간) 두 정상이 10일 백악관 집무실에서 처음 만났고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이름을 단 향수를 먼저 자기 몸에 뿌린 뒤 알샤라 대통령과 주변 인사들에게 차례로 뿌렸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건 당신 것, 다른 건 부인 것”이라며 농담을 건넸고 알샤라 대통령이 “한 명뿐”이라고 답하자 어깨를 가볍게 치며 “너희는 몇 명인지 알 수가 없다니까”라고 말해 현장이 웃음으로 이어졌다.

트럼프 개인 브랜드 향수…249달러 금빛 병 ‘빅토리 45-47’
이미지 확대
트럼프 대통령이 향수를 자기 몸에 먼저 뿌린 뒤 알샤라 대통령에게 뿌리며 농담을 나누는 장면. 온라인 영상에서 갈무리
트럼프 대통령이 향수를 자기 몸에 먼저 뿌린 뒤 알샤라 대통령에게 뿌리며 농담을 나누는 장면. 온라인 영상에서 갈무리


미디어라이트는 트럼프 대통령이 선물한 향수가 자신의 개인 브랜드 ‘빅토리 45-47’이라고 소개했다. 가격은 249달러(약 36만 원)로 금빛 병과 대통령 서명을 본뜬 디자인이 특징이다. 허프포스트는 영상만으로 특정 모델을 단정하긴 어렵지만 트럼프 브랜드 제품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반군 지휘자에서 정상으로…“지하디스트에서 대통령으로”
이미지 확대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임시 대통령이 2025년 2월 4일 튀르키예 앙카라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발언을 준비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임시 대통령이 2025년 2월 4일 튀르키예 앙카라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발언을 준비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알샤라 대통령은 2010년대 초 알카에다 연계 조직을 이끌었던 전력이 있다. 미디어라이트는 미국이 과거 그에게 1000만 달러(약 146억 원) 현상금을 걸었던 사실을 상기시키며 그의 급격한 변신을 조명했다. 그는 지난해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을 무너뜨린 뒤 과도정부를 세웠고 미국은 그의 방미를 앞두고 테러 제재를 해제했다.

CNN은 이번 회동을 “지하디스트에서 정상으로 변신한 알샤라 외교의 정점”이라고 평가했다.

제재 완화·대테러 공조·이스라엘 협상…양국 관계 큰 변화 예고
이미지 확대
시리아 대통령실이 공개한 사진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이 10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대통령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시리아 대통령실 제공·AP 연합뉴스
시리아 대통령실이 공개한 사진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이 10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대통령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시리아 대통령실 제공·AP 연합뉴스


CNN은 알샤라 대통령이 이번 방문에서 시리아 제재 완전 해제를 요청했고 미국이 기존 제재 유예 조치를 180일 연장했다고 전했다. 다만 인권 제재는 여전히 남아 있어 완전 해제를 위해서는 의회 승인 절차가 필요하다. 알샤라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이스라엘의 시리아 공격 중단과 남부 철군 압박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지 확대
지난해 9월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80차 유엔총회에서 연설하는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대통령. 2025년 촬영. 로이터 연합뉴스
지난해 9월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80차 유엔총회에서 연설하는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대통령. 2025년 촬영. 로이터 연합뉴스


알샤라 대통령은 워싱턴포스트(WP)와의 단독 인터뷰에서도 미국과의 관계 복원을 최우선 목표로 제시했다. 그는 “시리아 안정은 지역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며 제재 해제의 필요성을 강조했고 전쟁 중 실종된 미국인들에 대한 조사와 협력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자신이 과거 미군과 교전했던 전력에 대한 우려와 관련해서는 “정의에 맞는 전투는 부끄러운 일이 아니다”라며 “무고한 민간인에게 피해를 준 적은 없다”고 말했다. 또한 이스라엘과의 직접 협상 진행 상황을 언급하며 “트럼프 대통령이 중재 의지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이미지 확대
지난달 30일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 인근 다라야 지역에서 전쟁으로 파괴된 건물을 재건하는 노동자들. 2025년 10월 30일. AFP 연합뉴스
지난달 30일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 인근 다라야 지역에서 전쟁으로 파괴된 건물을 재건하는 노동자들. 2025년 10월 30일. AFP 연합뉴스


미국 정부는 시리아가 미국 주도의 이슬람국가(ISIS) 격퇴 연합(D-ISIS)에 합류해 90번째 회원국이 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시리아가 미국과 공식 대테러 공조에 나서는 것은 처음이다.

백악관 회동 전날엔 미군 장성과 농구…이미지 전환 과시
이미지 확대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대통령이 3점 슛 라인에서 던진 농구공이 골망을 흔드는 장면. 아사드 샤이바니 시리아 외무장관이 9일 인스타그램에 올린 영상에서 갈무리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대통령이 3점 슛 라인에서 던진 농구공이 골망을 흔드는 장면. 아사드 샤이바니 시리아 외무장관이 9일 인스타그램에 올린 영상에서 갈무리


알샤라 대통령은 워싱턴 도착 이튿날 미군 고위 인사들과 농구를 즐기는 모습이 CNN 영상으로 공개됐다. 3점 슛 라인에서 골을 넣는 장면이 소셜미디어에서 빠르게 퍼졌고 “미·시리아 관계 회복을 과시한 장면”이라는 반응이 나왔다.

트럼프 지지층 일부 반발…“ISIS 출신 대통령과 웃고 있다”미국 내 반응은 엇갈렸다. 일부 보수 지지층은 “ISIS 출신 인물과 트럼프 대통령이 웃으며 향수를 뿌리는 장면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CNN과 가디언은 “미국이 중동 재편 과정에서 전략적 도박에 나섰다”는 분석도 있다고 전했다.

美, 시리아에 전략적 베팅…중동 질서 새 판 짜기
이미지 확대
2025년 5월 사우디 리야드에서 만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대통령. 사우디 관영 SPA 제공 / 로이터 연합뉴스
2025년 5월 사우디 리야드에서 만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대통령. 사우디 관영 SPA 제공 / 로이터 연합뉴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알샤라가 국제적 정당성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미국은 그를 새로운 파트너로 선택했다”고 평가했다. 조슈아 랜디스 오클라호마대 중동연구센터 소장은 CNN 인터뷰에서 “레바논은 기능이 멈췄고 이라크는 친이란 민병대 영향력이 너무 커 미국이 선택할 파트너가 많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대통령의 회동 직후 백악관 외곽에 걸린 시리아 국기. 2025년 11월 10일, 워싱턴DC. 로이터 연합뉴스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대통령의 회동 직후 백악관 외곽에 걸린 시리아 국기. 2025년 11월 10일, 워싱턴DC. 로이터 연합뉴스


알샤라 대통령은 지난달 러시아 모스크바를 방문해 푸틴 대통령과 만났지만 “지금 러시아와 충돌하는 일은 시리아의 이익에 맞지 않는다”고 강조하며 균형 외교를 선언했다. 전략국제연구소(CSIS)는 “한쪽에 완전히 기댈 수 없는 세계정세에서 시리아는 미국과 러시아 사이에서 균형 전략을 택하고 있다”고 해석했다.

윤태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