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착] “이스라엘 방공망 뚫을 것”…이란 신형 자폭 드론 샤헤드-107 공개

박종익 기자
수정 2025-06-17 13:41
입력 2025-06-17 13:41

이스라엘의 기습적 선제공격으로 시작된 이란과의 무력 충돌이 닷새째에 접어든 가운데 이란이 새로운 신형 드론을 공개하며 압박하고 나섰다. 이란 반관영 MEHR 통신은 16일(현지시간) 적의 목표물에 대한 자폭 공격에 사용되는 샤헤드-107(Shahed-107) 드론이 새롭게 공개됐다고 보도했다.
이란 혁명수비대(IRGC)가 이날 사진으로 공개한 샤헤드-107은 최대 비행거리가 1500㎞에 달한다는 것 외에 알려진 정보는 없다. 다만 공개된 이미지를 보면 동체가 길쭉한 원통형으로 뾰족한 코 모양이 확인된다. 또한 터보프롭 엔진을 장착하고 있으며, X자 모양의 꼬리와 직사각형 날개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대해 이란 현지 언론은 “샤헤드-107을 떼로 운용하면 시오니스트(시오니즘을 믿고 받드는 유대인) 정권의 방공 능력을 뚫고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이처럼 IRGC가 무력 충돌이 벌어지는 와중에 새로운 드론을 공개한 것은 이스라엘에 대한 압박으로 풀이된다. 이란이 가진 치명적인 무기로 미사일과 더불어 드론이 꼽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 과정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무기가 이란이 지원한 샤헤드 자폭 드론이다. 실제 전장에서 러시아는 샤헤드-131과 샤헤드-136을 앞세워 우크라이나를 공격해 톡톡한 전과를 올렸다. 여기에 러시아는 샤헤드-136을 자체적으로 기술도입 생산하면서 개량을 거쳐 게란(Geran)-2라는 이름으로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이란의 드론 개발 역사는 생각 외로 길다. 과거 이라크와 전쟁을 벌인 이란은 종전 후 드론 개발에 나서 200년대 들어 자폭 드론을 생산하기 시작했으며, 서방에서 성능에 대한 의구심을 이번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 날려버렸다.
박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