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착] 수십조 원 금은보화 가득…콜롬비아 ‘전설의 보물선’ 유물 일부 인양

박종익 기자
수정 2025-11-21 10:01
입력 2025-11-21 10:01
300여 년 전 카리브해에서 침몰한 이른바 ‘전설의 보물선’의 보물 일부가 인양됐다. 지난 20일(현지시간) 미국 CNN 등 외신은 범선인 ‘산호세’(San Jose)에서 금화, 도자기, 대포 등이 인양됐다고 보도했다. 이날 콜롬비아 정부는 처음으로 인양한 유물을 언론에 공개하고 작업이 예정대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렸다.
‘난파선의 성배’라고도 불리는 산호세는 스페인 국왕의 소유로 1708년 6월 8일 영국 함대와 전투를 벌이던 중 콜롬비아 카르타헤나 해안 인근에 침몰했다. 300년이나 지난 지금까지도 산호세가 관심을 받는 이유는 현재가치로 최대 200억 달러(약 29조원)로 추산되는 금은보화가 가득하기 때문이다. 실제 산호세는 당시 식민지였던 볼리비아와 페루 등지에서 약탈한 약 1100만 개에 달하는 금과 은화, 에메랄드 등을 가득 싣고 정기적으로 남미와 스페인 사이를 오갔다.
이렇게 전설 속으로 사라졌던 산호세가 다시 국제적인 관심을 받게 된 것은 1981년 미국 회사인 글로카 모라가 보물선의 위치를 찾았다고 주장하면서다. 당시 회사 측은 산호세를 회수하면 보물의 절반을 받는다는 약속을 받고 좌표를 콜롬비아 정부에 넘겼다. 그러나 2015년 콜롬비아 정부는 자국 해군이 탐사 과정에서 산호세를 찾았다고 발표하며 이 위치는 글로카 모라가 제공한 좌표와 다르다고 주장했다. 이에 글로카 모라 측은 이 발표를 부정하며 콜롬비아 정부를 상대로 보물의 절반인 약 100억 달러의 권리가 있다는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여기에 산호세의 원소유주인 스페인, 또한 보물의 원소유주인 볼리비아까지 저마다 지분을 주장하는 상태라 최종 결론이 어떻게 나올지는 미지수다.
이에 콜롬비아 정부는 보물보다는 문화유산과 연구라는 것에 방점을 찍고 있다. 콜롬비아 문화부 장관 야나이 카다마니 폰로도나는 “보물 발굴은 18세기 초 유럽의 경제, 사회, 정치 상황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는 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이라면서 “이번 인양은 국가의 수중 문화유산을 보호할 수 있는 역량을 보여준 역사적 사건”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박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