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양 예술조화 이룬 ‘중국 현대미술 거장’ 우관중 첫 국내 개인전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수정 2025-07-25 14:12
입력 2025-07-25 14:12

예술의전당 ‘우관중: 흑과 백 사이’

이미지 확대
우관중 ‘두 마리 제비’. 예술의전당 제공
우관중 ‘두 마리 제비’.
예술의전당 제공


‘두 마리 제비’(1981), ‘강남 회상’(1996), ‘수로’(1997). 중국 현대미술의 거장 우관중(1919~2010)의 국내 첫 개인전이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에서 열린다. 우관중은 중국과 세계 미술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작가로 전통 수묵화의 감성과 서양 모더니즘의 표현 기법을 융합한 독창적인 화풍으로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예술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다.

예술의전당과 홍콩예술박물관이 공동주최하는 ‘우관중: 흑과 백 사이’는 홍콩특별행정구 정부 여가문화서비스부(LCSD) 산하 홍콩예술박물관(HKMoA)이 ‘홍콩 위크 2025@서울’의 사전 프로그램으로 기획한 해외전시 시리즈 중 하나로, 홍콩예술박물관이 소장한 우관중의 대표작 17점을 소개한다.

이미지 확대
강남회상 예술의전당 제공
강남회상
예술의전당 제공


우관중의 글에서 직접 발췌한 인상적인 문구들과 함께 구성된 이번 전시는, 흑과 백의 조화를 통해 발현되는 무한한 상상력과 열정은 물론 작가 특유의 색채 미학을 깊이 있게 탐색할 기회를 제공한다.

그는 전통 수묵화를 공부한 뒤, 이른 시기에 유화라는 다채로운 세계로 영역을 확장했으며 이후 프랑스 유학을 마치고 중국으로 돌아와 동서양 예술의 조화를 평생에 걸쳐 탐구했다. 생존한 중국 작가 최초로 대영박물관에서 개인전을 열었던 인물이며, 아시아, 유럽, 미국 등 세계 각지에서 그의 작품들이 폭넓게 전시되고 있다.

이미지 확대
‘감성의 연못 – 서울 판’ 예술의전당 제공
‘감성의 연못 – 서울 판’
예술의전당 제공




더불어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우관중 예술 후원 교차 학문 시리즈: 우관중 X 장한겸 정’의 작품도 만나볼 수 있다. 홍콩 아티스트 장한겸 정이 제작한 몰입형 설치작품 ‘감성의 연못 – 서울 판’은 인공지능을 통해 관람객 각자의 고유한 회화 작품을 실시간 생성하는 인터랙티브 작품이다. 이 작품은 우관중의 작품 세계를 기반으로 개발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예술과 기술의 새로운 접점을 제시한다. 장한겸 정은 해당 작품으로 2025년 제19회 홍콩예술발전상에서 ‘올해의 미디어 아티스트’로 선정됐다. 전시는 10월 19일까지.

윤수경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