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백제·신라 쟁탈전 현장... 노원 ‘불암산성’ 사적 보존 추진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수정 2022-11-14 01:44
입력 2022-11-13 17:06

삼국 접전 벌이던 유일한 산성
토기·구들 나와 사료 가치 높아

이미지 확대
국방문화재연구원 관계자들이 불암산성에서 발굴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노원구 제공
국방문화재연구원 관계자들이 불암산성에서 발굴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노원구 제공
서울 노원구와 경기 남양주시의 경계에 자리한 불암산성은 서울 북부 시민들이나 등산객에게 친근한 곳이다. 불암산 2봉우리에 있는 데다 서울둘레길 1코스에 속해 사시사철 시민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무엇보다 불암산성은 한강 일대에서 고구려와 백제, 신라 등이 각축전을 벌였던 삼국시대와 관련된 거의 유일한 산성이다. 노원구가 불암산성의 국가문화재 지정을 위해 수년째 노력하는 까닭이다.

13일 구에 따르면 불암산성과 관련해 본격적인 발굴이 시작된 건 2015년이다. 노원구와 남양주시는 축조 시기나 목적 등이 불명확한 불암산성의 역사적 가치를 알리고 문화재 지정의 학술적 토대를 마련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후 국방문화재연구원이 네 차례 발굴 조사한 결과 불암산성은 4~7세기 한강 일대를 두고 고구려, 신라, 백제 삼국이 각축을 벌였던 곳에 위치한 유일한 산성이라는 점이 확인됐다. 구체적으로 고구려·신라 토기들과 ‘ㅡ’ 자형 구들, 아궁이 등 주거용 난방시설이 발굴됐다. 성문과 치성, 저장시설인 목곽고 등 산성 관련 부대시설이 많은 것도 특징이다. 또한 신라 토기가 대량 출토돼 6세기 중엽 신라에 의해 축조된 테뫼식(산 정상부에 띠를 두르듯 성벽을 쌓는 형태) 석축산성이라는 주장에도 힘이 실린다.

삼국시대에 축조된 산성은 아차산 일대 고구려 보루군이 거의 유일하다는 점에서 불암산성의 역사적 의의가 크다. 이에 국방문화재연구원과 한국성곽학회는 지난달 20일 노원구청 대강당에서 ‘서울·경기지역 삼국시대 산성과 불암산성’이란 주제로 학술대회를 진행했다. 산성의 축조 시기 및 배경을 새롭게 조명하고 역사적 가치를 재정립해 국가 사적으로의 지정·보존을 추진하기 위해서다.



현재 불암산성은 서울시 기념물 제32호, 경기도 기념물 제221호로 지정돼 있다. 노원구와 남양주시는 국가문화재(사적)로의 등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이와 관련된 절차를 밟고 있다. 이재 국방문화재연구원 원장은 “앞으로도 노원구 및 남양주시와 협력해 불암산성이 국가문화재로 지정될 수 있도록 학술적인 부분을 보충하겠다”고 말했다.

조희선 기자
2022-11-14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