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평생교육지원센터 개관
생활·관계 곤란… 법적 지원 없어사회성 프로그램·멘토링 등 지원
22일 ‘서울시 경계선지능인 평생교육 지원센터’에서 만난 홍미영(49)씨는 경계선지능 아동에 대해 “조금은 느리지만 꾸준히 알려 주면 충분히 습득할 수 있는 아이들”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홍씨의 아들 박민수(19·가명)군은 중학생 때까지는 일반 학교에 다녔다. 홍씨는 “학교에서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많이 울어서 지능이 낮은 걸 알게 됐지만, 처음엔 제가 인정을 못 했다”며 “그러다 이게 아이의 행복이 아닌 걸 깨달았고, 경계선지능 학생을 위한 예하예술학교에 입학한 뒤 아이가 웃음을 되찾았다”고 했다.
센터는 사회성 프로그램과 일대일 멘토링 프로그램 등을 운영한다. 나아가 심리정서상담 지원, 효과적인 지원책 마련을 위한 실태조사, 인식 개선 사업 등도 진행할 계획이다. 민수군은 센터에서 진로 상담을 받을 예정이다. 홍씨는 “경계선지능 학생이 다닐 수 있는 학교도 많지 않지만 졸업하고 나면 더 막막하다”며 “대학 진학과 취업 준비까지 도와주는 센터가 생겨서 학부모들이 환호했고, 전국적으로 늘어났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경계선지능인에게는 또래끼리 모여서 노는 것도 사회성 발달을 위한 교육이 된다. 센터는 앞으로 이들의 만남을 위한 ‘사랑방’이 될 전망이다. 운동 프로그램 참여를 신청한 김명혁(19)군은 “센터에 오니 친구들이 많아 서로 장난치며 놀 수 있어서 즐거웠다”면서 “어렸을 때 야구선수를 꿈꿨던 적이 있어서 운동 프로그램 중 야구는 자신 있다”며 웃었다.
최선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