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 대통령기록관은 우주개발 관련 대통령기록물을 4일부터 온라인으로 공개한다고 3일 밝혔다.
우리나라의 우주개발 관련 정책은 1993년 한국항공우주연구소가 작성해 대통령에게 보고한 ‘21세기에 대비한 항공우주산업의 육성방안’에 처음 담겼다. 항공우주산업을 육성해 2000년대 세계 10위권에 진입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국가 차원의 첫 우주개발 계획은 1996년 세워진 ‘우주개발중장기 기본계획’이다. 역시 항우연이 대통령에게 보고한 문건으로 향후 20년간 4조 8000억원을 투자하고 4000명의 전문 인력을 투입해 19기의 과학 로켓, 우주 발사체를 개발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나로호 성공 후 정부는 누리호 개발을 추진했고, 관련 내용은 2016년에 작성된 ‘한국형발사체 개발 추진현황 및 향후 계획’에 담겨 있다. 이 계획은 대통령 자문기관인 국가우주위원회의 심의를 위해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작성한 문건이다.
한국 최초의 우주인 배출 관련 기록도 있다. 2006년에 작성된 문건인 ‘한국우주인 배출사업 관련’은 2008년 4월 러시아 소유즈호에 탑승해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도착한 후 지상과 교신 및 과학임무를 수행할 후보를 선발한다는 내용이다.
강국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