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천 등 5개 지역 시장군수協 “접경지역 너무 힘들어”
김동연 “기회발전특구는 특별자치도의 중요 구성중 하나”
기회발전특구는 지역별 특성과 장점을 살려 산업단지를 만들고 규제와 세금을 완화해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유입하도록 유도하는 정책이다. 정부는 전국 각지에 10개 기회발전특구를 선정해 총 1조원을 지원할 계획인데, 경기도의 도움이 절실하다.
김덕현 연천군수를 비롯해 양주·포천·동두천·가평 등 경기북부 5개 시군 시장·군수들은 이날 김 지사에게 기회발전특구 지정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협조를 요청했다. 김 군수 등은 “5개 지역은 수도권 및 접경지역이라는 이유로 각종 중첩 규제를 받아 지방 보다 더 어렵다”면서 “기회발전특구 지정은 낙후한 경기북부 전체에 혁신적 성장 동력을 부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5개 시군은 지난 7일 경기도 최북단 연천군에서 상생 협약을 맺고 “국가 균형발전 핵심 정책인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받아야만 인구소멸지역에서 탈출해 생존할 수 있다”며 협력체를 결성했다. 이날 김 지사 면담은 협력체 결성의 연장선이다. 정부 기회발전특구 신청 및 지정을 위해서는 신청 주체인 경기도의 절대적 협조와 공감이 필요하다.
김 지사는 건의문을 받으며 “경기특별자치도 추진을 본격화하면서 북부의 실상이나 앞으로의 방향에 있어 이 정도로 많은 관심을 받았던 때가 없었던 것 같다”며 “어떤 분들은 북부특별자치도가 성사될 경우 재정자립도가 더 낮아지고 더 못살게 되는 거 아니냐고 하는데 판을 바꾸지 않으면 격차가 더 벌어지고 낙후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회발전특구를 북부특별자치도의 중요한 하나의 구성으로 생각하고 ‘원팀’으로 가시적인 성과를 내자”고 강조했다.
한상봉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