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희숙 혁신안’ 좌초되나… 논의도 못한 의총, 내부 갈등만 격화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곽진웅 기자
수정 2025-07-23 23:45
입력 2025-07-23 23:45

뒤숭숭했던 국민의힘 두 차례 의총

윤, ‘대국민 사죄’ 1호案 관철 호소
의원 상당수는 “숙의 필요” 반발
오전 총회 ‘윤 불참’ 왕따 논란도

김문수 “혁신안 땐 30~40석 빠져”
이미지 확대
윤희숙(오른쪽)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23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를 마치고 최수진 의원과 함께 이동하고 있다. 이날 윤 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우리가 국민께 진솔하게 사죄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의원들에게 호소했다”고 말했다. 뉴스1
윤희숙(오른쪽)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23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를 마치고 최수진 의원과 함께 이동하고 있다. 이날 윤 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우리가 국민께 진솔하게 사죄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의원들에게 호소했다”고 말했다.
뉴스1


윤희숙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23일 우여곡절 끝에 의원총회에서 1호 혁신안인 ‘계엄·탄핵 사과문 당헌·당규 명시’ 도입을 강조했지만 의원 상당수는 “충분한 숙의가 필요하다”고 반응하며 벽에 부딪혔다. 이날만 두 차례 의원총회를 열었지만 혁신안 가운데 어느 것도 내부 지지를 얻지 못하면서 혁신위의 존재감이 더 옅어진 모습이다.

윤 위원장은 이날 오후 의원총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진솔하게 사죄하지 않으면 다시는 기회가 오지 않는다. 국민 눈높이에서 제대로 사죄하자고 (혁신안 1호 위주로) 호소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숙의가 필요하다는 (의원들) 말씀이 있었다. 발표한 지 거의 2주가 지났는데 개인적으로 아쉽다”고 덧붙였다.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윤 위원장이 큰 틀의 말씀만 했고, 이 부분에 대해 의원들이 문제 제기나 의견 제시를 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지금 상황이 혁신안 논의 못지않게 대여 공세에 집중할 시기라는 공감대가 있었다”고 했다. 정점식 사무총장은 당 사무처에 “사죄문을 당헌·당규에 어떻게 넣을 수 있을지 검토해 보라”고 한 것으로 전해졌다.

혁신안 논의를 위한 의원총회는 연기된 끝에 이날 열렸지만 개별 사안에 대한 논의 없이 지난 10일 내놓은 혁신안 1호 관철을 윤 위원장이 호소하는 수준에서 마무리된 것으로 보인다. 윤 위원장은 “(결정된 것은) 없다”고 했다. ‘최고위원제 폐지’나 ‘당원소환제 강화’ 내용이 담긴 혁신안 2호와 3호안에 대한 논의는 이어지지 못했다.

윤 위원장이 이날 오전 의원총회에 불참하면서 진실 공방이 오가기도 했다. ‘다구리’(몰매)에 이어 ‘왕따’ 논란까지 제기된 것이다. 곽규택 수석대변인은 “(윤 위원장에게) 연락을 드렸는데 참석 여부에 답변을 안 한 것으로 안다”고 했지만, 윤 위원장은 “당사 사무실에서 콜이 오기를 기다리는데 ‘부르는데 안 왔다’는 기사가 떴다”고 반박했다.

‘윤희숙 혁신안’이 결국 좌초 수순을 밟고 차기 당권 주자들 몫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전당대회 출마를 선언한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은 SBS 방송에 출연해 “혁신안을 받으면 의석 30~40석은 빠져나간다”고 말했다. 윤 위원장이 송언석 원내대표 겸 비상대책위원장 등 4명에 대한 용퇴를 요구한 데 대해선 “당이 깨지는 쪽의 혁신은 자살”이라고 했다.

곽진웅·조중헌 기자
2025-07-24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