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시신 가져가라” 요청에 北 결국 무응답…장례 절차 진행

류재민 기자
수정 2025-08-05 16:30
입력 2025-08-05 16:30
유전자 검사 뒤 시신 화장 예정

북한이 우리 정부의 북한 주민 시신 인도 요청에 끝내 응답하지 않았다. 이재명 정부의 대북 유화 정책이 이어지고 있지만 북한은 아직 우리 측의 대화 요청에 반응하지 않고 있는 모양새다.
통일부는 5일 “당초 예고한 시한인 오늘 15시까지 북한의 응답이 없었다”며 “북한 주민 사체 처리 지침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에서 무연고자 사체 처리 절차에 의거 정중하게 장례를 치를 예정”이라고 밝혔다.
해당 시신은 지난 6월 21일 인천 강화 석모도 해안에서 발견됐다. 성별은 남성으로 1988년 10월생이고 주소지는 황해북도 금천군 강북리였다. 시신과 함께 군용 솜동복, 배지 등이 함께 나왔다.
통일부는 북측에 ‘북한 주민 남성 시신 1구를 8월 5일 15시에 판문점을 통해 인도하려 한다’면서 남북 통신선을 통해 입장을 알려달라고 지난달 29일 요청했다. 남북 간 통신선이 끊긴 상태여서 시신 인도 계획을 언론 발표를 통해 공개 통보하는 방식으로 전달했다.
통일부는 북한이 응답하지 않으면서 유전자 검사 뒤 시신을 화장해 무연고 장례를 치를 계획이다. 유전자 검사는 향후 가족관계 확인에 필요할 수 있어서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북한 주민 사체 처리 지침’(국무총리 훈령)을 개정해 북한 주민 시신의 유전자 검사를 할 수 있도록 했다.
앞서 2010년부터 발견된 북한 주민 추정 시신은 총 29구다. 2017년 2구, 2019년 1구, 2022년 1구, 2023년 2구 등 6구는 북한이 인수하지 않았다. 북한이 시신을 인수한 것은 2019년 11월이 마지막이었다.
류재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