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 시공에 수요 6배 뻥튀기”… 울릉·흑산공항 제동 건 감사원

허백윤 기자
수정 2025-09-24 01:12
입력 2025-09-24 01:12
“안전 취약” 지방공항 건설 실태
울릉공항 활주로 길이도 짧아
조종사 70% 이착륙 부담 우려
자격 없는 현장감독 등도 지적무리한 지방 공항 신설을 둘러싼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2028년 개항하는 울릉공항과 흑산공항의 수요 예측이 최대 6배 부풀려졌다는 감사 결과가 나왔다. 또 활주로 길이도 짧아 안전성도 확보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감사원은 23일 이 같은 내용의 ‘지방 공항 건설사업 추진 실태’ 감사 결과를 공개했다. 감사 결과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공항 여객 수요를 산정할 때 검토 필요성이 있는 해양수산부의 예측치를 확인하지 않고 승객 전환율(해운→항공)도 항공에 유리하게 과다 추정했다.
국토부는 울릉·흑산 지역이 매년 1.7~4.1%씩 성장해 여객 수요도 같은 비율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는데, 해수부 예측이나 감사원이 전문기관을 통해 재산정한 여객 수요는 그에 미치지 못했다. 2050년 기준 울릉공항에 대한 국토부 예측치는 107만 8000명이었으나 재산정 결과는 절반 수준인 55만명으로 예측됐다. 흑산공항의 경우 국토부는 2050년 108만명으로 예측했지만 감사원은 18만 2000여명으로 83%나 감소할 것이라고 봤다.
울릉공항 활주로 길이도 문제로 지적됐다. 국토부는 2022년 수익성 증대 등을 위해 항공기 좌석 수의 상한을 50석에서 80석으로 늘리면서도 활주로 길이는 1200ꏭ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부산항공청은 이에 맞춰 항공기 1대당 승객수와 화물량을 제한하는 기준을 마련했다. 하지만 감사원은 이 기준대로라면 특히 비가 올 때 착륙이 불가능하다고 짚었다.
또 조종사 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 70%가 현 활주로 길이가 이착륙에 부담이 된다고 했고, 95%는 안전 운항을 위해 활주로를 연장해야 한다고 답했다. 일부 공사 과정에 하도급사가 자격 없는 현장 대리인을 배치했는데도 이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는 등 관리·감독 부실도 드러났다.
감사원은 국토부에 울릉공항의 여객 수요를 적정하게 재산정하는 방안과 활주로 길이 연장 등 안전성을 제고할 방안을 마련할 것을 통보했다.
허백윤 기자
2025-09-24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