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새일센터 직업교육훈련 현장맞춤형 과정 확대된다
수정 2015-03-17 13:48
입력 2015-03-17 13:48
여성가족부, 2015년 경력단절여성 직업교육훈련 718개 과정 선정

전문기술 과정은 3D프린팅 전문강사, 조선·해양플랜트 설계기사 양성과정 등 65개 과정이 운영된다. 기업맞춤형 과정은 자동차부품소재 제조인력, 웹컨텐츠 설계자 양성과정 등 155개 과정이 운영된다. 여성이 선호하는 교육·복지 등 사회서비스 직종, 오픈마켓 등 창업과정, 장애여성, 결혼이민여성 및 북한이탈여성 등을 위한 별도 과정도 운영된다.
교육 참여를 희망하는 경력단절여성은 해당 지역 새일센터(대표번호 1544-1199)에 신청하면 된다. 지난해 경력단절여성 직업훈련은 651개 과정에 1만 5094명이 참여, 1만 4124명이 수료했으며, 상반기 수료자 3922명 중 61%인 2393명이 취업했다.
이번에 선정된 훈련과정은 시·도에서 1차 심사를 거쳐 추천된 763개 과정 중 지역별 인력수요와 취업가능성 등을 고려해 최종 선정됐다. 여가부는 올해 직업교육훈련의 품질 제고 및 취업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지역별 구인·구직?취업자 특성 분석 데이터와 지역 주요 역점산업에 기반한 훈련과정을 편성하도록 하고, 시·도에서 1차 심사한 훈련과정에 대해 여가부가 2차 심사를 거쳐 최종 선정하는 등 선정 기준 및 절차를 강화한 바 있다.
이기순 여가부 여성정책국장은 “경력단절여성 직업교육훈련은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여성고용 활성화와 직결된 사업으로, 올해에는 구인 수요를 반영해 산업현장의 미스매치를 해소하는 데 역점을 뒀다”며 “앞으로도 지역별 구인·구직 수요를 반영한 교육 운영을 통해 경력단절여성들의 재취업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주혁 선임기자 happyhom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