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가 블로그] 최재형 감사원장 유엔 진출 외교전 치열

최광숙 기자
수정 2019-08-27 09:47
입력 2019-08-26 23:28
BoA위원 아태 권역 위원국 11월 선거

우리가 알기로 유엔은 ‘국제 평화, 안전, 인권’ 등을 위해 좋은 일을 하지만, 한편으로는 엄청난 예산을 바탕으로 세계 곳곳에서 많은 사업을 집행하다 보니 부패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기도 합니다.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2006년 취임하면서 유엔 내 만연한 부패 척결을 위해 개혁 조치를 취한 것도 이 때문입니다. 유엔 내의 사무총장 산하 내부 감사기구(OIOS)에서는 바로 이런 부패 문제 등을 맡고 있지요.
유엔은 내부 감사기구와는 별도로 독립된 외부 감사기구인 유엔 감사위원회(BoA)를 두고 있습니다. 최 원장이 출사표를 던진 곳은 바로 감사위원회 위원직입니다. 이 BoA에서는 매년 유엔 본부, 평화유지군(PKO), 유니세프 등 21개 주요기관을 대상으로 회계의 적정성과 예산집행의 효율성 등에 대해 감사를 실시해 결과를 총회에 보고합니다. 총회가 결의한 감사 결과 및 조치 사항은 유엔 사무총장이 책임지고 이행해야 합니다. 우리의 감사원이 하는 역할및 기능과 거의 같다고 보면 됩니다.
BoA 위원직은 임기 6년으로 형식상 감사원장 개인 자격의 출마이지만 감사원장의 임기가 종료되면 후임 감사원장이 이 직을 승계하는 만큼 이번 선거는 최 원장 개인에 대한 선거가 아닌 우리나라가 유엔 감사위원국에 선출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지요. 즉 우리 감사원이 대한민국을 대표해 BoA 위원국으로 당당히 진출하는 것이지요.
감사위원국은 아시아·태평양, 미주·아프리카, 유럽 등 권역별로 선출하는데 현재 독일과 칠레, 인도로 구성돼 있습니다. 인도의 임기가 내년 6월 종료됨에 따라 아시아·태평양 권역 위원국 선거가 오는 11월 치러질 예정입니다. 필리핀과 중국에서도 후보를 내 물밑 외교전이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지요. 이번 선거 홍보 활동을 위해 최 원장뿐만 아니라 강민아 감사위원이 함께 나서 아프리카, 남미 등의 45개국을 대상으로 지지 활동을 벌인 것도 그래서입니다. 외교부도 적극적으로 득표 활동에 나서고 있지요. 강 위원은 “BoA 진출은 감사원의 위상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면서 “정보기술(IT) 감사기법 등이 평가를 받고 있어 좋은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최광숙 선임기자 bori@seoul.co.kr
2019-08-27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