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정책 포럼 ‘사의재’ 창립에 ‘강진 사의재’ 관심 증폭

최종필 기자
수정 2023-01-26 13:32
입력 2023-01-26 13:32
강진 사의재···다산 정약용 유적지
‘생각·용모·말·행동’ 뜻 담겨

이름이 같은 강진 사의재(四宜齋)는 조선 후기 실학자 다산 정약용이 1801년 강진에 유배됐을 때 머물던 주거지다. 다산은 이곳에서 1805년 겨울까지 4년간 머물렀다. 다산은 ‘네 가지를 올바로 하는 이가 거처하는 집’이라는 뜻으로 ‘사의재’라고 지었다. ‘생각은 맑게, 용모는 단정하게, 말은 적게, 행동은 무겁게’라는 뜻이다. 몸과 마음을 다잡아 국가 혁신과 애민, 학문 연구에 정진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다산이 조선의 난제들을 해결하고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수많은 저서를 남긴 곳도 사의재다. ‘목민심서’, ‘경세유표’ 등이 이 곳에서 편찬됐다.
문재인 전 대통령과 강진의 특별한 인연도 강진을 대표하는 꽃 가운데 하나인 ‘작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2018년 남북정상회담이 열렸던 역사적인 순간을 장식했던 꽃이 바로 강진 작약이다. 두 정상 양옆에 놓인 꽃장식과 김정은 위원장이 군사분계선을 넘어오며 초등학생들로부터 건네받은 꽃다발, 만찬장 테이블을 화려하게 수 놓은 꽃 모두 강진 작약이었다.
당시 남북정상회담을 빛낸 조연으로 작약이 사용된 이유는 북한의 국화(國花)가 ‘함박꽃나무’로 우리나라 작약의 한 종류인 것과 무관하지 않다. 또 수줍어 보이지만 화려한 자태를 자랑하는 작약은 ‘꽃들의 왕’으로 불리며 5월이면 호텔 장식이나 신부 부케로 자주 쓰일 만큼 ‘환영’의 상징적인 의미를 품고 있다.
강진군은 사의재 명소화를 위해 한옥 체험관, 저잣거리 등 주변 시설과 연계해 역사와 문화가 공존하는 대표 관광 명소로 조성중이다.
강진 최종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