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 여수 정치권 내년 총선 선거구 획정 신경전 과열

최종필 기자
수정 2023-01-30 11:47
입력 2023-01-30 11:47
전남 최다 도시 ‘순천’ 분구 되나?
여수을 김회재 의원 “여수·순천 갑을병 3개 방안도 있어”

21대 총선을 앞둔 지난 2020년 2월 순천은 28만 1347명으로 상한선을 넘겨 선거구가 2개로 늘어나야 했지만, 선거구획정위원회는 인구 5만 5999명의 순천 해룡면을 광양시로 따로 떼어내버렸다. 당시 순천시민들은 기형적인 선거구 쪼개기로 정치적 희생양이 됐다고 거세게 반발했지만 조정은 이뤄지지 않았다.
민주당 전략 공천을 받은 소병철 의원은 공약사항으로 “순천의 자존심이 깊은 상처를 입은 만큼 4년후에는 순천을 반드시 두개의 선거구로 만들어내겠다”는 약속을 했었다.
이같은 상황에 순천보다 인구가 적은 여수지역이 먼저 선거구 문제를 꺼내들었다. 순천은 지난해 12월 말 기준 27만8737명으로 인구상한선을 넘긴 상태다. 여수는 지난해말 기준 27만 4765명으로 21대 총선 당시 제시된 상한선 27만8000명을 크게 밑돈다. 순천시 선거구는 분구가 돼야하지만 여수시 2개 선거구는 하나로 합쳐지는게 이론상 적절하기 때문이다.
여수 을 김회재 국회의원은 지난 12일 신년 기자회견을 열고 “선거구를 조정한다면 여수와 순천을 합쳐 의석수를 3개(여수·순천 갑, 을, 병)로 만드는 것을 검토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김 의원과 지역 현안사업을 놓고 자주 충돌하는 여수 갑 주철현 의원은 “산적한 과제 해결을 위해 국회의원은 현재처럼 2명으로 유지돼야 한다”며 “의석수를 현재대로 유지해 시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시민들의 도움이 절실하다”는 입장이다.
이같은 소식에 천하람 국민의 힘 순천갑 당협위원장은 발끈하고 있다. 천 위원장은 “원칙에 따라 순천 갑·을 형태의 온전한 분구를 이뤄야 한다”며 “김회재 의원의 주장은 본인의 이해득실을 따지는 ‘꼼수’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천 위원장은 “전남 동부권에 중대선거구제를 도입하자는 말은 개혁적 주장이 아니라, 이익에 따라 여수와 순천을 묶어 다시금 제멋대로 3개로 자르려는 게리맨더링에는 결단코 동의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21대 총선 당시 순천시 선거구 분구의 최대 수혜자로 손꼽히는 소 의원은 아직까지 순천 선거구와 관련된 내용에 대해 일절 언급하지 않고 있는 상태다.
순천 최종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