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다양하고 차별화된 귀농어귀촌 사업 추진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류지홍 기자
류지홍 기자
수정 2023-02-01 10:44
입력 2023-02-01 10:44

귀농어귀촌 11개 핵심사업에 735억 투입, 매년 4만여 명 유치

이미지 확대
농촌에서 살아보기 운영마을 워크숍
농촌에서 살아보기 운영마을 워크숍
농어촌의 인구 감소와 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전남도가 다양하고 차별화된 귀농어귀촌인 유치 정책을 펼친다.

전남도는 매년 4만여 명이 유입되는 귀농어귀촌인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귀농어귀촌 분야 11개 핵심사업에 735억 원을 들여 전남형 귀농어귀촌인 유치정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먼저 귀농귀촌 유치 지원사업으로 49억 원을 들여 농촌 이주를 희망하는

도시민의 임시 주거공간 마련과 농촌 정보 제공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해 현장에서 귀농귀촌 유치 활동과 함께 정착 기틀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국 최초로 시행하는 ‘전남에서 살아보기 사업’은 예비 귀농어귀촌인의 농어촌 문화 체험을 통해 안정적 정착을 돕고 마을 주민 스스로 유치 활동을 하는 프로그램으로 2억 원을 지원한다.

특히 귀농인이 가장 선호하는 사업인 ‘귀농 창업자금 및 주택자금 융자지원 사업’은 도시민이 농어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농지 구입 등 창업자금은 최대 3억 원, 주택 구입 자금은 7천500만 원까지 연 1.5% 대출금리로 5년 거치 10년 원금 균등 분할상환 조건으로 지원하게 된다.

또 신규사업으로 18억 원을 들여 최근 5년 이내의 귀농어귀촌인에게 창업 활성화를 위한 자금으로 팀당 3천만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 밖에 도시민 귀농어귀촌인 유입 캠페인과 어울림 마을 조성 등의 귀농어귀촌 유치 활동과 지역민과의 화합을 위한 프로그램에 10억 원을 지원한다.

정광선 전남도 인구청년정책관은 “귀농어귀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매년 4만여 명의 귀농어귀촌인이 전남으로 들어오고 있다”며 “올해는 보다 체계적인 귀농어귀촌 유치 지원정책을 통해 예비 귀농어귀촌인이 안정적으로 정착하도록 실효성 있는 정책을 지속해서 펼치겠다”고 말했다.

류지홍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