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 등 ‘고밀도 폴리에틸렌 소형어선 규제자유특구’ 지정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류지홍 기자
류지홍 기자
수정 2023-04-12 17:03
입력 2023-04-12 17:03

고밀도 폴리에틸렌 어선 대체하면 매년 2075억 원 규모 어선 시장 선점

이미지 확대
고밀도 폴리에틸렌 소재 소형어선(8M급)
고밀도 폴리에틸렌 소재 소형어선(8M급)
여수와 목포시, 영암군의 해안 일원과 영암 대불국가산단, 여수국가산단, 여수 율촌산단이 ‘친환경 고밀도 폴리에틸렌 소형어선 규제자유특구’에 지정돼 친환경 선박 기술을 선도하게 됐다.

전남도는 이번 특구 지정에 따라 섬유강화플라스틱 어선을 100% 재활용 가능한 친환경 소재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어선으로 대체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소형어선 제작과 실증까지 함으로써 해양수산부 고시 어선구조기준에 고밀도 폴리에틸렌 소재 신설을 추진할 방침이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어선 연구에는 전남테크노파크와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등 14개 기관과 기업이 참여하며, 산단에서 어선을 제작해 해안 일원에서 실증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2024년부터 2년간 국비 120억 원, 지방비 52억 원, 민자 28억 원 등 총사업비 200억 원이 투입된다.

전남도는 이번 규제자유특구 지정으로 생산유발 428억 원, 부가가치 유발 134억 원과 119명의 고용유발효과는 물론 향후 친환경 선박 기술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최근 5년간 연평균 1848척의 신규 어선이 등록하고 있어 고밀도 폴리에틸렌 어선으로 대체할 경우 매년 2075억 원 규모의 어선 시장 선점이 예상된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친환경 어선으로 가는 촉진제가 될 ‘친환경 고밀도 폴리에틸렌 소형어선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통해 전남이 세계적으로 친환경 조선산업을 선도하도록 관련 산업 육성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이번 규제자유특구 지정은 전남이 전국 소형어선 조선소 207개 중 55%를 차지하고 있고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생산하는 여수산단과 고빌도 폴리에틸렌 선박 건조 기술을 보유한 회사와 연구기관이 집적화된 최적의 여건을 갖췄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무안 류지홍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