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전남형 치매 돌봄 종합대책 추진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류지홍 기자
류지홍 기자
수정 2023-04-24 15:58
입력 2023-04-24 15:58

60세 이상 도민 치료비 지원 등 2025년까지 12개 사업 976억 투입

이미지 확대
전남도청 전경
전남도청 전경
매년 증가하는 치매 가족의 고통과 부담 경감을 위해 전남도가 치매 종합 대책을 마련해 추진한다.

전남도는 ‘전남형 치매 돌봄제 종합대책’을 마련, 2025년까지 976억 원을 투입해 예방과 치료, 돌봄, 교육 연구 등 4개 분야 12개 사업을 중점 추진한다고 밝혔다.

먼저 치매 예방을 위해 치매 조기 검진을 대폭 확대해 치매 고위험군인 경도장애 4천 명과 인지 저하 1만 명, 75세 진입자 2만 1천 명 등 총 3만 5천 명을 1년 주기로 조기 검진하고 60세 이상 일반 관리군 54만 3천 명을 3년 주기로 추진한다.

치매 조기 검진은 시군 보건소 치매안심센터에서 받을 수 있고 거동이 불편한 주민들은 경로당과 노인복지관 등 찾아가는 치매 조기 검진을 추진한다.

현재 정부 정책은 중위소득 120% 이하를 대상으로 치료비를 지원하고 있는데 전남도는 전국 최초로 2024년부터 60세 이상 전 도민으로 확대해 치료비 부담 완화를 지원한다.

병원 약제비 영수증을 보건소에 제출하면 진료비와 약제비를 월 3만 원까지 연간 최대 36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치매 돌봄 강화를 위해 치매 전담형 노인요양시설과 치매 안심 병원을 확충하고 치매 환자가 살 수 있는 치매 안심마을 125곳도 지정할 계획이다.

전남은 노인인구 비율이 25.2%로 전국에서 가장 높고 치매 유병률 또한 12.19%로 전국 평균인 10.3를 웃돌고 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지역 발전에 기여했던 어르신이 치매로부터 자유롭고 품위 있는 삶을 살도록 지원하는 것은 사회적 책무”라며 “전남도가 가족의 마음으로 치매 환자와 그 가족이 고통과 부담의 굴레에서 벗어나도록 종합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무안 류지홍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