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 백련사 대웅보전 국가지정 문화재 ‘보물’ 지정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최종필 기자
최종필 기자
수정 2023-05-03 16:33
입력 2023-05-03 16:33

영모당, 추원당에 이어 3번째 보물 지정
‘남도답사 1번지’ 위용 뽐내

이미지 확대
강진 백련사 남서측 원경 모습
강진 백련사 남서측 원경 모습
전남 강진군의 ‘강진 백련사 대웅보전’이 3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됐다.

지자체의 국가 보물 지정은 10년에 하나도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강진군에서는 불과 몇 개월 사이에 보물 세 개가 연속으로 지정돼 남도답사 일번지의 위용을 뽐내고 있다.

특히 최근 지정된 영모당, 추원당에 이어 백련사 대웅보전까지 보물 모두가 다산권역에서 나와 고려청자 유산과 함께 강진 문화재의 양대 산맥을 완성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교과서에도 게재된 강진 백련사는 원묘국사 요세(1163~1245)의 결사 운동이 일어난 역사의 현장이다. 조선시대에도 많은 승려가 수행했던 유서 깊은 사찰이다. 백련사 승려들은 인근 다산초당의 정약용(1762~1836)에게 학문을 배우면서 만덕사지 편찬에 일조하는 등 불교와 유교가 서로 긴밀하게 교류했다는 점은 익히 알려져 있다.

강진 문화유산은 크게 3가지 권역으로 구분된다. 첫번째는 월출산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수려한 자연환경이다. 그 중심에는 백운동원림, 경포대, 무위사, 월남사가 있다. 둘째는 고려청자 권역으로 강진만을 중심으로 108개 이상의 고려청자요지가 집중돼 있어 탁월한 가치를 바탕으로 세계유산 등재를 준비 중이다.
이미지 확대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된 ‘강진 백련사 대웅보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된 ‘강진 백련사 대웅보전’
다산을 중심으로 한 다산권역이 세번째다. 이번에 혈연으로 맺어진 해남 윤씨와 종교의 차이를 넘어 교우한 백련사의 승려들로 이루어진 학연의 상징물이 모두 보물로 지정되면서 강진의 다산초당권 문화의 완성으로 간주되고 있다.



강진원 강진군수는 “영모당, 추원당 보물 지정이 얼마 되지 않았는데 백련사 대웅보전까지 보물로 지정된 일은 강진의 높은 문화 역량을 보여주는 일이다”며 “강진군의 13번째 보물의 탄생을 군민들과 함께 축하한다”고 말했다. 강 군수는 또 “우리 조상들에게서 면면히 계승된 응축된 문화의 힘이 오늘날 강진의 다양한 축제의 성공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앞으로 강진의 문화유산을 더욱 보존하고 발굴하겠다”고 덧붙였다.

강진 최종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