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광주 군공항 이전 바로 알기 캠페인’ 나서

류지홍 기자
수정 2023-05-03 17:42
입력 2023-05-03 17:42
24시간 공항 운영 가능, 소음 완충지 확장으로 소음 영향 저감 등 홍보

광주 군공항이 민간공항과 통합 이전해도 활주로가 이격 설치돼 24시간 공항 운영이 가능하고, 군공항 면적과 소음 완충지 등이 대폭 확장돼 전투기 소음에 따른 주변 영향이 저감된다는 내용이다.
이번 캠페인은 도민의 정확한 인식하에 군공항 이전 최적지가 선정되도록 생활 소음 피해 등 군공항 이전에 대한 일부 왜곡, 과장된 정보를 바로잡는 데 초점을 뒀다.
홍보 캠페인은 오는 12일까지 나주~함평~무안~목포와 광주, 순천 등 권역별로 진행되며 첫째 날인 3일에는 전라남도 도로교통과 직원 20여 명이 나주역과 무안, 함평, 목포에서 전단지 배포와 군공항 이전 방향 등을 설명하고, 도민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캠페인은 군공항이 민간공항과 통합·이전해도 민·군항기 활주로는 1.3㎞ 이격해 설치되므로 민항기와 군용기가 동시에 이·착륙할 수 있고, 이 때문에 24시간 공항 운영이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 새로운 군공항은 전투기 소음 저감 대책을 입지 선정부터 운영 시까지 단계별로 검토해 주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계획이라는 점도 설명했다.
군공항 예정지는 주변에 취락지가 없거나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으로 선정하고, 비행경로와 활주로 방향, 주변 지형지물, 전투기 훈련 횟수, 시간 등 소음 발생 영향 고려한 저감 계획을 준비하고 있다는 점도 소개했다.
실제 소음 저감을 위해 현재 광주 군공항 면적 8.2㎢ 보다 약 2배 확장된 15.3㎢로 새로운 군 공항을 건설하고, 기존 군공항에는 없었던 소음 완충지를 확보해 전투기 소음의 주변 영향을 저감하는 내용도 홍보했다.
또 군공항 건설 후 소음 억제와 관리, 피해 보상을 위해 비행 훈련시간 조정 등 저감 대책을 지속적으로 운영하는 계획도 알렸다.
김병호 전남도 도로교통과장은 “원활한 군공항 이전을 위해서는 도민들께서 정확한 정보에 근거해 수긍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며 “이번 캠페인을 통해 군공항 이전이 가져올 영향에 대해 가감 없이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
무안 류지홍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