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마늘 생산량 증가에 정부 대책 건의

류지홍 기자
수정 2023-05-22 17:44
입력 2023-05-22 17:44
정부 수매 확대와 수매계획 조기 발표, 수입산 관리 강화 등 종합대책 건의

전남도는 올해 마늘 생산량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본격적인 마늘 수확기인 6월 이전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 등 발 빠른 대응이 필요하다고 보고
2023년산 마늘 정부 수매비축량을 2022년보다 2만 톤 확대할 것과 수매계획 조기 발표, 수입산 관리 강화, 시장격리 등 종합대책 마련을 건의했다. 또 마늘 가격 안정과 생산비 보장을 위한 중장기적인 수급 안정 대책 마련도 요청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전국 마늘 재배면적이 지난해보다 943ha가 늘어난 2만 4천629ha로 생산량도 지난해보다 3만 6천 톤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2022년산 난지형 마늘(남도종 등)의 4월 말 기준 재고량은 1만 4천 톤으로 5월까지 소진되지 않으면 가격이 더 하락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에 전남도는 농협과 함께 하나로마트 등 오프라인 매장과 남도장터 등 온라인 쇼핑몰에서 20~30%의 할인행사를 추진하고 가공업체 등 대량 소비처와 구매협약 등 소비 촉진 활동을 추진할 방침이다.
강효석 전남도 농축산식품국장은 “마늘 가격은 하락하고 있으나 인건비, 비료 등 농자재 가격은 크게 올라 농업인의 소득 보장 요구가 높다”며 “본격적인 마늘 수확기 이전 선제적 대응을 위해 정부에 조속한 대책 마련을 건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전국 농수산물도매시장 깐마늘 거래가격은 18일 기준 kg당 6천680원으로 지난해보다 23% 하락했다.
무안 류지홍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