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보존해주오”···시민단체, 개발사업 중단 촉구

최종필 기자
수정 2023-06-01 16:01
입력 2023-06-01 13:43
34개 단체 “지리산 개발사업 중단해야” 촉구
지리산은 국내 최대면적 육상 생태계

지리산지키기연석회의를 포함한 34개 시민단체 활동가 40여명은 1일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리산에 들어서기로 예정돼 있는 케이블카와 산악열차, 골프장, 도로와 임도 계획을 당장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이들 단체는 “백두대간의 최남단에 위치한 지리산에는 반달가슴곰을 포함한 멸종위기 야생생물이 40여종이나 살 만큼 우리나라 최고의 보호지역이자 최대면적의 육상 생태계다”고 설명했다. 지리산은 지난 1967년 우리나라 첫 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됐다. 세계자연보전연맹은 지리산국립공원을 보호지역 카테고리 Ⅱ로 등재하고, 그린리스트로 지정하면서 보전 필요성과 가치를 국제적으로 확인시켜주고 있다.

단체들은 “지리산 환경을 파괴하려는 구례, 남원, 산청, 하동, 함양군 등 5개 시·군의 욕심 앞에 환경부가 침묵하고 있다”며 “산악열차, 케이블카, 골프장 등을 ‘개발’이라는 미명 아래 숲을 깎고, 흙을 파헤치고, 거기에 사는 생명을 죽이는데도 환경부는 모른척 외면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이들은 “구례에서는 생태·자연도 1등급 숲을 파헤쳐 국립공원 바로 밑에 27홀 규모의 골프장을 짓는다”며 “주민들에게는 한마디 설명도 없이 관변단체를 동원해 골프장 개발을 밀어붙이는 구례군은 시행사 이사인 산주가 골프장 예정지의 숲을 미리 정리하도록 불법 벌목도 막지 못한 채 방관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윤주옥 지리산지키기연석회의 대표는 “지리산이 파헤쳐지는데도 보고만 있고, 지리산의 가치를 돈으로 환산하려 드는 자들의 입을 막지 않는 환경부는 환경부가 아니다”고 질타했다. 윤 대표는 “지리산에 필요한 것은 생태순환 고리의 회복과 멸종위기 야생생물들의 안전한 서식지다”며 “지리산을 겨냥한 모든 개발사업이 중단되도록 환경부가 나설 것을 다시 한번 호소한다”고 강조했다.
구례 최종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