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적조와 고수온 피해 종합대책 마련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류지홍 기자
류지홍 기자
수정 2023-06-27 15:49
입력 2023-06-27 15:46

예방 중심적 대응체계 확립과 예찰 기반시설 확충 등 피해 최소화 총력

이미지 확대
전남도가 지난 26일 도청 회의실에서 전문가 등이 참석한 ‘적조와 고수온 대책위원회’를 개최하고 있다.
전남도가 지난 26일 도청 회의실에서 전문가 등이 참석한 ‘적조와 고수온 대책위원회’를 개최하고 있다.
남해안 양식 어업인들에게 큰 피해를 주는 적조와 고수온 피해 최소화를 위해 전남도가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총력대응 태세에 돌입했다.

전남도는 최근 ‘2023년 적조와 고수온 대응 종합대책’으로 예방 중심적 대응체계 확립과 예찰과 예보 기반시설 확충, 민관 합동 현장 대응, 피해복구 및 경영 안정 지원, 제도개선 및 기술보급 등 5대 추진 전략을 마련했다.

또 지난 26일에는 관계 기관과 전문가 등이 참석한 ‘적조와 고수온 대책위원회’를 개최해 ‘2023년 적조와 고수온 대응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대응 지원 방제장비 구축과 예찰, 예보 기반시설 확충, 민관 합동 현장 대응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밖에 오는 7월 12일에는 완도 신지면 해상가두리 양식장 밀집 해역에서 적조 발생 상황을 모의로 정해 전남도와 완도군, 해경 선박을 비롯해 어선 20척 등 총 26척의 선박을 동원한 ‘2023년 적조 방제 모의훈련’을 실시해 실전 대응능력을 한 단계 끌어올릴 계획이다.

국립수산과학원과 기상청은 올해 평년 대비 수온이 0.5~1℃ 높고 강수량도 많을 것으로 예보함에 따라 고수온은 7월 초순, 적조는 지난해보다 한 달 이른 7월 하순쯤 주의보가 발령될 것으로 예측된다.



최정기 전남도 해양수산국장은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임박으로 수산물 소비가 둔화하는 등 양식 어민이 어려운 시기인 만큼 적조와 고수온 피해가 발생하지 않게 철저히 대비하겠다”며 “어업인들도 자기 어장 지키기 운동과 적조 발생 시 광역적 일제 방제작업에 적극 동참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무안 류지홍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