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시, ‘전남형 균형발전 300 프로젝트’ 최종 선정··· 325억 투입

최종필 기자
수정 2023-07-25 16:18
입력 2023-07-25 15:41
승주 바이오 미래산업···지방소멸·인구감소 해법 제시
전국 최초 생물전환 GMP 시설 구축, 그린 바이오 특화단지 조성

‘전남형 균형발전 300 프로젝트’는 전남 22개 시·군 중 1개 시·군을 선정 3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민선 8기 전라남도 공약과 연계한 지역특화 대규모 발전사업을 추진하는 사업이다. 시는 지난 1995년 순천시와 승주군 통합 이후 소멸위기에 처한 승주읍 일원을 바이오산업 특화 단지로 조성한다는 구상 아래 지난 1월부터 ‘스마트 생물전환 산업화플랫폼 111 프로젝트’를 주민과 함께 기획했다. 도농통합 후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는 승주읍 일대를 새싹삼 생산·유통 거점 지역으로 조성한다는 내용이다.
이번 공모사업은 전남 22개 시·군 중 19개 지자체가 신청할 정도로 열기가 뜨거웠다. 순천시민들의 관심 또한 높았다. 시는 지난 3일 1차 심사에 합격해 발표심사 대상인 8개 지자체에 포함됐다. 19일 발표심사와 현장평가를 거쳤다. 이 과정에서 승주읍민 400여명이 자발적으로 현장평가 장소에 집결해 열띤 응원전을 펼치는 등 승주읍 선정의 의지를 강력하게 전달했다.
인구소멸 위기지역이 아닌 순천시가 최종 지자체로 선정된 것은 의미가 크다. 시는 소멸위기지역으로 분류되지 않아 타 지자체에 비해 불리한 조건에서 출발했다. 하지만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한 우수한 사업내용과 사후 활성화를 위한 기반 인프라와 운영인력 등을 갖춘 점이 높이 평가받았다.

사업 예정지인 (구)승주군청은 1998년 순천제일대학교에 매각 돼 제일대 승주캠퍼스로 활용됐으나 학생 감소 등을 이유로 운영이 중단된 상태다. 시는 (구)승주군청을 매입해 바이오 특화 단지로 조성하고 지역 자원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소재 개발, 기업 사업화 지원으로 100년의 먹거리를 만들어 낸다는 방침이다.
노관규 시장은 “지방소멸에 대응하는 최선의 방법은 청년들이 수도권으로 가지 않고도 지방에서 생활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 제공이라는 것을 절실하게 느껴 이번 프로젝트를 제시했다”고 말했다. 노 시장은 “승주읍 일원을 생태경제 핵심축인 그린 바이오산업 허브로 조성해 지역 신규 소득원 창출, 지방소멸 대응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아 순천시 성공모델을 전남 22개 시·군 전역으로 확산시키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순천대학교와 함께 5년 동안 1000억원의 사업비를 지원하는 ‘글로컬대학 30’사업의 본지정을 위해 협업하고 있다. 이번에 선정된 ‘전남형 균형발전 300 프로젝트’와 연계협력을 통해 순천대를 농업 중심의 세계적인 강소 지역기업을 육성하는 혁신 대학으로 발돋움 시켜나갈 계획이다.
순천 최종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