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온 맞아 전남지역 전복양식장 피해 우려

최종필 기자
수정 2023-07-30 13:42
입력 2023-07-30 13:40
전국 생산량 99%, 2만 1947t(6735억원) 생산
최근 3년간 신안·완도·여수 등 11개 시군 3823어가 피해

김영록 전남지사는 지난 29일 강진 마량해역 전복 양식장을 방문, 고수온 대응 상황을 살피고 피해 최소화를 위한 촘촘한 대응체계를 당부했다.
전복은 우리나라의 대표 양식 수산물이다. 지난해 생산량은 2만 2078t(6786억원)이다. 이 중 전남에서 전체 생산량의 99%인 2만 1947t(6735억원)을 생산했다.
전복 양식장을 찾은 김 지사는 표준사육기준 준수, 먹이 공급량 조절, 가두리 어망 관리실태 등을 점검했다. 이어 강진 전복협회 회원 20명의 애로사항을 귀담아들은 후 어가 경영 안정을 위한 양식 재해보험에 가입할 것을 당부했다.
김 지사는 “고수온 피해 최소화를 위해 양식장 관리에 각별히 신경써달라”며 “도에서도 현장대응반 운영 등 발빠른 비상 체계를 구축해 고수온 상황에 즉각 조처해나겠다”고 말했다.

최근 3년간 고수온으로 신안, 완도, 여수 등 11개 시군 3823어가에서 조피볼락, 전복 등이 폐사했다. 184억원 규모의 피해가 발생, 2777어가에 복구비 168억원을 지원했다.
도 관계자는 “최근 각종 자연재해가 빈번해지고 피해 규모가 커지고 있으나 양식시설물과 수산생물에 대한 재해복구 단가는 수년간 동결돼 있다”며 “실거래가의 50% 수준으로 상향되도록 중앙부처에 적극 건의할 방침이다”고 밝혔다.
강진 최종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