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테크노파크, 지역 기업 입주 외면하고 청년창업가 관심 소홀

최종필 기자
수정 2023-11-10 17:03
입력 2023-11-10 17:03
입주기업 업종별·연령별 등 다양한 데이터 수집과 관리 필요

김태균(더불어민주당·광양) 전남도의회 부의장은 지난 8일 열린 제376회 제2차 정례회 전남테크노파크(이하 TP) 소관 행정사무감사에서 이같은 폐단을 지적하고 개선을 요구했다.
김 부의장은 “TP 정관에 전남지역 산·학·연·관의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 지역산업의 기술고도화와 기술 집약적 기업의 창업촉진이라고 지역과 역할이 분명히 명시돼 있다”며 “하지만 입주기업 중 타지역 소재 기업 비중이 30%로 과한 만큼 기업의 입주비율을 조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TP 입주기업 중 청년창업가의 비율에 대해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꼬집었다. 김 부의장은 “청년이 돌아오는 전남을 만들기 위해 정책과 예산이 집중되고 있음에도 청년창업가에 대한 기초 데이터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큰 문제다”며 “청년창업가 TP 우선 입주 등 실행 가능한 청년 정책을 수립해야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전남도내 타 출연·출자기관과 지원이 겹치는 업종은 해당 기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안내하고, TP는 TP에 맞는 업종의 업체들이 입주해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업종별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남테크노파크는 충분한 매출과 역량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장기간 입주해 있는 기업 정리, 장비 사용률 향상, TP 자립을 위한 자구책 마련에 소홀하는등 개선 사항도 요구되고 있다.
김 부의장은 “TP 입주 후 성공해 퇴소한 기업들을 발굴하고 관리하는 등 신규 입주 기업들이 롤모델로 삼을 수 있도록 인큐베이팅을 하는 것이 TP의 역할이다”며 “특히 전남테크노파크가 대한민국에서 청년창업가를 제일 많이 보유한, 제일 앞서가는 TP로 거듭나야한다”고 TP 본연의 자세를 당부했다.
무안 최종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