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일조량 감소 농작물 재해피해 건의

류지홍 기자
수정 2024-02-25 11:47
입력 2024-02-25 11:47
일조량 감소로 수정과 착과 불량, 품질 저하와 출하량 감소

전남도는 기상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3개월간 영광 등 5개 시군의 평균 일조시간이 평년의 167시간보다 22.7시간 감소한 129시간으로 나타났다.
특히 12월의 경우 평균 일조시간이 평년보다 33% 감소한 104시간으로 집계됐다.
재배면적이 70ha에 이르는 나주지역 멜론의 경우 생육기인 12월의 일조시간이 125시간으로 전년의 167시간보다 25%나 줄어 수정 및 착과, 과실비대 불량 등으로 특품 출하량이 전년보다 70%나 줄었고 전체 출하량도 16%가 감소했다.
딸기는 일조량 부족으로 생육과 열매 성숙 등이 늦어지면서 생리장해가 발생했고 잿빛곰팡이병 등의 발생으로 확산 방지를 위한 방제가 필요한 상황이다.
여기에 전남지역은 지난 2월 18일부터 25일까지 8일간 비가 내리는 등 흐린 날씨가 지속됨에 따라 일조시간이 더욱 감소해 농작물 추가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농민들은 “겨울철 일조량 부족에 따른 난방기 사용과 농작물 병해 방제를 위한 노동력 가중은 물론 농작물 생산량 감소 등 농가 경영이 삼중고를 겪고 있다.”며 “정부 차원에서 자연재해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호소하고 있다.
정광현 전남도 농축산식품국장은 “겨울철 일조량 부족에 따른 농가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지만 아직 뚜렷한 대책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며 “농업인이 안심하고 영농에 종사할 수 있도록 일조량 부족을 농어업재해로 인정해줄 것을 정부에 강력히 요청했다”고 말했다.
무안 류지홍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