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권역응급의료센터 단계별 지원

류지홍 기자
수정 2024-04-08 16:39
입력 2024-04-08 16:39
지역 중증환자 증가 단계에 따라 비상 체계 가동

전남도는 상급종합병원이 없는 전남의 특수성을 감안해 상급종합병원의 역할을 대신할 지역 권역응급의료센터에 인근 광주의 전남대와 조대 병원을 이용하던 중증 환자 10% 이상이 들어오면 병상 부족 발생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전남지역에서 인근 광주의 전남대와 조선대를 이용하는 환자는 2022년기준 월 270여 명에 이른다.
이에 따라 비상 단계를 ▲1단계 관심(현재) ▲2단계 주의(10% 증가) ▲3단계 경계(25% 증가) ▲4단계 심각(50% 증가)으로 나눠 환자 증가 시나리오를 마련하고 의료공백 최소화를 위해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
전남도는 권역응급의료센터 환자모니터링 결과 경계 단계 돌입부터 대응 체계를 적용, 단기로는 일부 병상을 중환자 병상으로 기능 전환해 고난도 중증 환자 진료를 위해 병상 전환 비용(1병상당 1천만 원)을 지원한다.
장기로는 중환자 급증으로 동·서부 전 권역 중환자실 부족 시 병상 확충 가능 의료기관을 발굴해 중환자실 설치비용(1병상당 1억 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 경계 단계부터 지방의료원의 숙련 간호 인력을 권역응급의료센터에 파견하고 응급실 근무자를 대상으로 진료 격려수당을 지급하는 등 의료진 근무 여건도 개선할 계획이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상급종합병원 진료 축소에도 도민이 진료를 받는데 차질이 없도록 모든 조치를 강구하겠다”며 “도민 건강권 보호를 위해 의료 현장에서 두 달여간 비상 진료 태세로 근무하는 의료진께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무안 류지홍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