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RE100 등 선진지 사례연구 ‘글로벌 특사단’ 8개 팀 선발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안승순 기자
수정 2024-04-25 13:03
입력 2024-04-25 13:03
RE100·출퇴근 시간 단축·360° 돌봄 등 민선 8기 핵심 아젠다 연구

이미지 확대
경기도 ‘2024년 글로벌 정책연구 훈련팀 선발 오디션’ 사진(경기도 제공)
경기도 ‘2024년 글로벌 정책연구 훈련팀 선발 오디션’ 사진(경기도 제공)
‘경기도 특사단(특별한 임무를 띠고 파견하는 사절단)’ 8개 팀 32명이 ‘2024년 글로벌 정책연구’ 최종 오디션에 합격해 선진 우수사례 연구 및 도정 활용방안 마련에 들어간다.

경기도는 24일 수원 광교청사 4층 율곡홀에서 ‘2024년 글로벌 정책연구 훈련팀 선발 오디션’을 열고 참가자 15개 팀 60명 가운데 8개 팀 32명을 최종 선발했다.

글로벌 정책연구 훈련팀은 해외 선진지 견학과 사례 연구를 통해 얻은 최신 동향을 경기도정에 반영하기 위해 마련된 훈련프로그램이다. 팀별 연구과제는 민선 8기 경기도 핵심 정책 등 지정과제 3건, 실·국 현안 사항 등 자율과제 5건 등 총 8건이 선정됐다.

주요 연구과제로는 ▲경기 RE100 추진을 위한 선진사례 연구 ▲이용자 중심의 모빌리티 체계 구축을 통한 출·퇴근 시간 단축 연구 ▲경기도형 발달장애인 정책 로드맵 개발 선진사례 연구 등이 있다.

경기 RE100 정책 구체화를 위해 재생에너지 분야 선진국인 독일, 네덜란드 등 우수사례를 연구해 경기 RE100 제로에너지 건축물 확대 방안, 경기 RE100 정원 조성 방안 및 다양한 에너지전환 기술·정책 및 도정 접목 방안을 발굴할 예정이다.

출퇴근 시간 단축을 통한 경기도민 삶의 질 개선은 교통 선진국 호주의 대중교통시스템을 체험, 연구해 여러 교통수단을 연계, 수요자에게 최적의 이동 경로와 이용 수단을 안내하는 경기도 플랫폼 ‘똑타’의 고도화 사업을 추진하고, 시내버스 등 대중교통의 운영, 노선, 요금체계 등을 분석해 효율적인 대중교통체계 구축에 활용할 계획이다.

경기도형 발달장애인 정책 로드맵은 경기도 360° 돌봄정책의 하나로 발달장애인 가족의 부담 완화 및 소득 보장(일자리) 정책 수립을 위해 호주·뉴질랜드 등 선진사례를 연구할 예정이다.

오병권 행정1부지사는 “글로벌 정책연구 추진을 통해 선진 우수사례를 심층 연구·분석해 도정에 접목·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를 바란다”라며“도정 발전과 도민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명확한 목표 의식과 사명감을 가지고 해당 연구 활동에 적극 임해주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안승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