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이 우리나라 수산물 수출의 효자 품목으로 떠오른 가운데, 경기 도내 올해 김 양식 생산액이 408억 9천만 원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29일 경기도가 올해 생산량을 자체 집계한 결과 2024년산 김 생산량은 2만 1천846톤, 생산액은 408억 9천만 원으로 파악됐다. 생산량은 전년 대비 2만 2천513톤보다 약 3% 줄었지만, 생산액은 전년 218억 4천만 원에서 87.2%(190억 원) 대폭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80년대 후반 경기도에서 김 양식을 시작한 이래 최대 금액이다. 현재 화성·안산 2개 시 71개 어가가 3천100㏊에서 김 양식을 하고 있다.
경기도는 일본의 김 양식 흉작에 따른 수출 수요가 많이 늘어난 데다 전국적인 김 작황 부진으로 가격이 상승했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올해 전국 생산액은 전년 대비 77% 늘었다.
도는 안전하고 안정적인 김 생산을 위해 매년 6억 원 이상의 사업비를 투자 화성, 안산시 김 양식장을 지원하고, 유해화학물질 무단 사용 행위, 불법 시설물에 대해 강력한 단속과 일제 정비를 수시로 하고 있다.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는 최근 바다 수온이 상승하면서 전국적으로 김 생산성이 하락하는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현재 경기 해역 환경에 맞춘 병해에 강하고 해수면 온도 상승에도 성장이 양호한 김 종자 개발 시험 연구 사업을 추진 중이다.
김봉현 경기도 해양수산과장은 “올해 물김 위판 가격 상승으로 어업인의 소득이 많이 늘어났지만, 수온 상승에 따른 해양환경 변화로 김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어 지속적인 소득 보장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기후변화에 대응한 종자 개발 등 신규사업을 발굴해 지속 가능한 김 양식 산업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