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왕우렁이 피해’ 특별 관리 나서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류지홍 기자
류지홍 기자
수정 2024-07-30 11:05
입력 2024-07-30 11:05

전남지역 9개 군, 월동 왕우렁이에 어린 모 피해 잇따라

이미지 확대
월동한 왕우렁이가 모내기한 어린 모를 갉아먹어 피해가 발생한 논. 전남도 제공
월동한 왕우렁이가 모내기한 어린 모를 갉아먹어 피해가 발생한 논. 전남도 제공
전남지역 곳곳에 어린 모를 갉아 먹는 왕우렁이 피해가 잇따르면서 전남도가 피해 예방을 위한 특별 관리 대책 마련에 나섰다.

전남지역은 지난 겨울철 잦은 비와 따뜻한 날씨로 겨울을 난 왕우렁이가 해남과 진도 등 9개 군, 5034ha에서 모내기한 어린 모를 갉아먹는 피해가 발생했다.

겨울이면 자연 폐사해야 할 왕우렁이가 기후변화로 월동과 번식을 거듭해 개체 수가 급증하면서 잡초뿐만 아니라 어린 모까지 갉아먹은 것이다.

이에 따라 전남도는 다음 달까지 왕우렁이 지원사업을 진행하는 21개 시군을 대상으로 왕우렁이 피해 조사에 나선다.

피해가 큰 지역을 우심지역으로 지정하고 왕우렁이 집중 수거와 우렁이 제거 예방 자재 긴급 지원 등 특별 관리 대책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피해지역 왕우렁이의 월동 실태조사와 유입경로 등을 파악해 농수로 차단망 설치 등 피해 방지를 위한 관리 대책도 마련할 예정이다.

전남도는 특히 농업인들을 대상으로 이앙 전 논 고르기와 중간물떼기 후 우렁이 수거, 동계작물 재배, 깊이갈이 등 왕우렁이의 시기별 관리요령 등 농업인 의무 교육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대표적인 친환경농법인 왕우렁이 농법은 이앙 후 5일 또는 써레질 후 7일 이내에 논 10a당 1.2kg 이내의 왕우렁이를 투입하면 제초제를 사용한 논 잡초방제의 98% 효과가 있어 경영비가 일반농가의 10.6% 수준으로 줄어 많은 농가들이 활용해왔다.

무안 류지홍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