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흥 양식장서 넙치 등 25만마리 집단폐사···고수온 추정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최종필 기자
최종필 기자
수정 2024-08-07 17:29
입력 2024-08-07 17:29
이미지 확대
전남 고흥의 한 양식장에서 강도다리와 넙치 등 25만마리가 폐사해 관계 당국이 원인 조사에 나섰다.
전남 고흥의 한 양식장에서 강도다리와 넙치 등 25만마리가 폐사해 관계 당국이 원인 조사에 나섰다.
연일 이어지는 고수온으로 전남 고흥의 한 양식장에서 강도다리와 넙치 등 25만마리가 폐사해 관계 당국이 원인 조사에 나섰다.

7일 고흥군에 따르면 전날 고흥군 두원면 한 육상양식장 1곳에서 강도다리 20만마리와 넙치 5만마리가 집단폐사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전체 양식 물고기의 68%가 폐사한 것으로 파악됐다.

득량만 인근 바닷물을 끌어와 사용하는 해당 양식장은 최근 해수 온도가 28도 이상 올라 고수온 경보가 내려졌다. 하지만 같은 바닷물을 끌어오는 인근 다른 양식장 등에서는 집단 폐사가 발생하지 않은 만큼 남해수산연구소 등 전문기관에 정확한 폐사 원인을 확인할 계획이다.
이미지 확대
공영민 군수가 집단 폐사 양식장을 찾아 어업인을 위로하고 있다.
공영민 군수가 집단 폐사 양식장을 찾아 어업인을 위로하고 있다.
고흥군 관계자는 “아직 폐사 원인 규명이 되지 않아 섣불리 고수온 피해라고 단정하기 어렵다”며 “폭염이 지속되고 고수온 경보가 내려졌던 곳이어서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추가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료 공급량을 줄이고 액화 산소를 투입하는 등 철저한 관리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공영민 고흥군수는 이날 오후 해당 양식장을 방문해 폐사 피해 등 현장 점검에 나섰다. 공 군수는 양식장 방문 중 어업인을 위로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액화 산소, 차광막, 산소발생기 등 고수온 대응 장비를 가동하고 사육밀도 및 먹이 공급 중지 등 어장관리에 최선을 다해 줄 것”을 당부했다.

고흥 최종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