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희영 용산구청장, 철도지하화 선도사업 신속한 추진 촉구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황비웅 기자
황비웅 기자
수정 2025-03-05 10:19
입력 2025-03-05 10:18

지난달 19일 발표된 ‘철도지하화 우선사업 지역’에서 경부선과 경원선 제외
지난달 28일 국토교통부와 서울시에 ‘철도지하화통합개발 선도사업 선정 및 사업 조속 추진’ 건의문 전달

이미지 확대
지난해 12월 박희영 서울 용산구청장이 철도 지하화 선도사업 지정 촉구 공동건의문에 서명하고 있는 모습. 용산구 제공
지난해 12월 박희영 서울 용산구청장이 철도 지하화 선도사업 지정 촉구 공동건의문에 서명하고 있는 모습. 용산구 제공


경부선 지하화 추진협의회 회장인 박희영 서울 용산구청장이 지난달 19일에 발표된 ‘철도 지하화 우선사업 지역’에 경부선과 경원선이 제외된 것에 대해 아쉬워하며 국토교통부와 서울시의 신속한 협의를 촉구했다고 5일 전했다.

용산구는 지난달 28일 경부선과 경원선을 철도 지하화 선도사업으로 지정하고, 향후 철도 지하화 종합계획에도 반영해달라고 요청하는 건의문을 국토교통부와 서울시에 전달했다.

앞서 지난해 10월, 서울시는 경부선(연계 노선 포함 34.7㎞)과 경원선(연계 노선 포함 32.9㎞)을 선도사업 대상지로 국토교통부에 제안했다. 이후 경원선 구간(용산역~도봉산역)은 용산구를 포함한 7개 자치구(성동·동대문·중랑·성북·도봉·노원구)로 구성된 ‘경원선 지하화 추진협의회’를 출범하고, 철도 지하화 선도사업 지정을 공동 건의했다.

경부선 구간(서울역~당정역) 역시 7개 지자체(용산·동작·영등포·구로·금천구·군포시·안양시)로 구성된 ‘경부선 지하화 추진협의회’를 통해 국토교통부에 공동 건의문을 전달하는 등 철도 지하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왔다.

그러나 정부는 2월 ‘민생경제점검회의’에서 부산·대전·안산 3개 지역만 철도 지하화 우선사업 대상지로 선정했다. 나머지 수도권 경부선·경인선·경원선 등에 대해서는 “관련 지자체와 추가 협의를 거쳐 구체적인 추진 방안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발표했다.

박희영 용산구청장은 “경부선과 경원선의 철도 지하화는 단순한 교통 인프라 개선이 아니라, 도시 단절 해소·도심 재구조화·친환경 도시환경 조성 등 서울의 미래 경쟁력을 높이는 핵심 사업”이라며 “철도 지하화를 기다리는 서울시민들을 위해 서울시와 국토교통부가 신속히 협의해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황비웅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