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농업 장흥 친환경농업단지에 ‘풍년새우가 돌아왔어요!’

최종필 기자
수정 2025-06-25 13:54
입력 2025-06-25 13:54
풍년새우, 긴꼬리투구새우 친환경 농업 지표로 활용

“친환경 유기농업으로 운영하니까 풍년새우가 돌아왔어요.”
전남 장흥군 장동 정암마을에서 유기농법을 하고 있는 김재기 씨는 “장동면 일원 친환경농업단지에서 좀처럼 보기 힘든 풍년새우와 긴꼬리투구 새우 수천마리를 확인했다”고 이같이 밝혔다.
25일 장흥군에 따르면 긴꼬리투구새우는 3억년 전 고생대 시기 화석에서도 발견된 화석생물이다. 한때 지나친 농약 등으로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됐지만 자취를 감췄다. 최근에는 친환경 농법이 도입되면서 다시 나타나 청정지역에서만 종종 발견되고 있다. 몸통이 투명해 속까지 다 볼수 있는 풍년새우는 까만 눈과 빨간 긴꼬리가 특징이다. 긴꼬리투구 새우와 함께 수십개의 다리와 긴꼬리로 논바닥을 휘젖어 먹이를 먹고 잡초가 나지 못하게 하는 제초 역할을 한다.
풍년새우와 긴꼬리투구새우는 농약과 화학비료 등에 민감해 토양이 얼마나 깨끗한지를 보여주는 일종의 친환경지표로 알려져 있다. 유기농법을 시작하면서 살아있는 흙과 친환경 유기농업의 생태 기반을 증명하는 상징적 사례가 된 셈이다.

이번에 발견된 풍년새우와 긴꼬리투구새우는 장동 정암마을에 사는 김재기 농가 외 유기농법으로 농사짓는 논에서 대량 발견됐다. 장동면의 좋은선택유기작목반은 70여㏊ 유기농업을 실천해 오면서 26년 넘게 우렁이 등 친환경농법으로 쌀농사를 하고 있다.
좋은선택유기작목반 김재기 씨는 “여러 군데 논에서 발견된 풍년새우와 긴꼬리투구새우는 7~8년 전부터 나타났다”며 “풍년새우가 보이면 그 해에는 풍년이 든다는 말이 있다”고 말했다.
고동일 장흥군 농산유통과장은 “건강한 생태계의 증거다”며 “이번 사례를 직간접적으로 홍보해 지속가능한 장흥군 친환경농업 발전을 이뤄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장흥군은 2004년부터 친환경우렁이, 농자재 등을 지원해 약 1900㏊ 농지의 흙 살리기 농법을 통해 친환경 쌀, 표고버섯 등 유기 농산물 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장흥 최종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