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분담금 공약, 경제 악영향 땐 재검토”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강동삼 기자
강동삼 기자
수정 2025-07-02 00:40
입력 2025-07-02 00:40

오영훈 제주지사 취임 3주년 회견

이미지 확대
오영훈 제주지사가 1일 도청에서 민선 8기 제주도정 출범 3주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제주도 제공
오영훈 제주지사가 1일 도청에서 민선 8기 제주도정 출범 3주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제주도 제공


“공약이라도 제주지역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재검토해야 하고 숙고하겠습니다.”

오영훈 제주지사가 1일 도청에서 열린 민선 8기 출범 3주년 기자회견에서 제주를 찾은 관광객에게 환경 보전을 위해 일정 금액을 부과하는 제도인 제주환경보전분담금 도입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오 지사는 “지난해 말 불법계엄에 따른 정치적 불안정은 제주 관광객 급감으로 이어지며 제주경제에도 적신호를 드리웠다”며 “내년까지 경기가 나아지지 않는다면 임기 내 추진하지 않겠다”고 했다. 공약이라고 해서 도민 삶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게 확실하면 시행하는 게 부적절하다는 입장이다.

오 지사는 앞서 지난해 4월 도의회 임시회 도정질문에서 “내국인 관광객을 1300만명 수준으로 유지, 관리해야 하는 데 관광객 추이를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며 환경보전분담금 도입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표명한 바 있다.

환경보전분담금은 수익자 부담 원칙에 따라 관광객에게 제주 자연환경과 생태보전 비용으로 소정의 금액을 내게 하는 제도다. 제주도가 2017~2018년 용역에서 환경보전기여금 부과액으로 숙박 시 1인당 1500원, 렌터카 1일 5000원(승합 1만원, 경차 및 전기차 50% 감면), 전세버스 이용 요금의 5%를 제시했다.

그러나 이 분담금을 처음 검토했던 2012년 당시 제주 관광객은 연간 1500만명에 달할 만큼 호황이었으나 현재는 1300만명대로 줄면서 관광협회와 여행업계 등에서는 관광산업에 악영향을 끼칠 것을 우려한 바 있다.

제주 강동삼 기자
2025-07-02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