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전국 정상 초청 무산…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 ‘반쪽’ 전락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강남주 기자
수정 2025-07-21 15:56
입력 2025-07-21 15:56

미국 등 7개국 초청했지만 응한 정상 없어

이미지 확대
2024년 9월 11일 오전 인천 중구 8부두에서 열린 제74주년 인천상륙작전 전승행사에서 참전국(22개국) 국기가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2024년 9월 11일 오전 인천 중구 8부두에서 열린 제74주년 인천상륙작전 전승행사에서 참전국(22개국) 국기가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인천시가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에 한국전쟁 참전국 정상들을 초청하려던 계획이 무산될 처지다. 행사가 두 달도 남지 않은 상황인데 초청에 응한 정상이 없어서다.

21일 인천시에 따르면 오는 9월 15일 75주년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를 국제행사로 격상시켜 개최한다.

1950년 9월15일 전개된 인천상륙작전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2008년 시작된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는 매년 9월15~17일 열렸다. 이를 대규모 행사로 바꾸고 국제행사로까지 키운 것은 유정복 시장의 의지에서 비롯됐다.

유 시장은 지난 2022년 7월 11월 프랑스 노르망디를 직접 방문해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를 ‘노르망디상륙작전 기념식’에 버금가는 국가 행사로 만들겠다고 공언해 왔다. 이후 행사 기간과 규모가 늘어났고 올해는 참전국 정상들을 초청하는 국제행사로 격상시켰다.

시는 이를 위해 미국, 영구, 캐나다, 프랑스, 호주, 뉴질랜드, 네덜란드 등 7개국 정상들을 초청했다. 그러나 현재까지 행사에 참석하겠다고 한 정상은 1명도 없다.

게다가 예산도 반토막 났다. 시는 애초 올해 행사를 위해 국비 19억원과 시비 15억원을 합쳐 총 34억원을 투입하기로 했지만 확보한 예산은 국비 2억원, 시비 15억원 등 17억원 뿐이다. 윤석열 정부가 예산을 삭감한 때문인데, 이번 행사가 반쪽짜리로 전락할 것이라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시는 초청국 중 일부는 우리나라에서 11월 열리는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할 예정이어서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에 참석하기 힘든 상황이고, 나머지 국가는 국내 사정으로 인천 방문이 어려운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각국 대사관을 통해 정상들의 참석을 요청했지만 아직 답을 듣지 못했다”며 “정상들의 참석이 무산될 경우를 대비해 각국에 보훈부 장관, 군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대표단을 파견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남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