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구, 출산가정 산후조리비 지원 대상 ‘거주기간 제한 폐지’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유규상 기자
유규상 기자
수정 2025-11-26 13:30
입력 2025-11-26 13:30

신청일 기준 성동구 거주 가정 대상
산후조리 경비용 바우처 100만원도

이미지 확대
정원오 서울 성동구청장이 아이와 함께 있는 모습. 성동구 제공
정원오 서울 성동구청장이 아이와 함께 있는 모습. 성동구 제공


서울 성동구는 ‘성동형 산후조리비용’의 지원 자격 중 거주기간 요건을 없앴다고 26일 밝혔다. 올해 1월 1일부터 산후조리비용 지원 자격을 성동구 6개월 이상 거주에서 3개월 이상 거주로 한 차례 거주요건을 완화한 데 이어, 지난달 12일부터는 신청일 기준 성동구 거주만으로도 지원이 가능하도록 거주기간 요건을 폐지했다.

이에 따라 성동구에 출생신고하고, 신청일 기준으로 부 또는 모가 성동구에 주민등록을 둔 상태에서 실제 거주하고 있으면 산후조리비용 5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 더욱 많은 출산가정이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현금 지원 이외에도 산후조리경비 관련 허용 업종에 사용할 수 있는 바우처 100만원을 함께 지원하고 있다. 신청일 기준 서울시 거주 출산모라면 별도의 거주기간 상관없이 신청할 수 있다.

지원을 희망하는 출산가정은 성동구에 출생신고 후 출산일 60일 이내에 동주민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된다. 온라인 신청은 현금은 ‘정부24’에서, 바우처는 ‘서울맘케어’ 누리집(홈페이지)을 통해 가능하다. 동주민센터로 방문하면 현금과 바우처를 동시에 신청할 수 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성동에서 아이를 출산하고 키우는 모든 가족에게 든든한 힘이 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에 힘쓰고 있다”며 “앞으로도 모두가 안심하고 출산·육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정책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구는 지난해 성동형 산후조리비용을 통해 출생아 수 대비 89%인 1522명을 지원했다.

유규상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