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블릭 IN 블로그] 20년차 김 중령의 10번째 이삿짐
박홍환 기자
수정 2018-01-15 01:07
입력 2018-01-14 23:08

공군 정모(41) 소령은 16년 군 생활 중 8번 이사했다. 가족들 간의 유대를 중시하는 그는 김 중령과는 달리 가족 전체가 2년에 한 번 꼴로 이삿짐을 꾸렸다. 어떤 때는 이삿짐을 채 정리하기도 전에 전출 명령이 떨어져 그대로 다시 이사하기도 했다.
요즘 서울 용산 국방부 본부 청사와 전국 각지의 군 부대는 전출·전입 신고로 분주하다. 장군 인사가 마무리됨에 따라 후속 장교 인사가 비로소 숨통이 트였기 때문이다. ‘이사전쟁’도 본격화됐다.
군 당국 조사에 따르면 직업군인들의 결혼 후 평균 이사 횟수는 2008년 5.1회에서 지난해에는 5.6회로 10년 동안 약간 상승했다. 육군과 해병대가 5.8회로 같고, 해군은 5.3회, 공군은 5.1회로 조사됐다. 계급별로는 장군 11회, 대령 10.8회, 소위 10회, 중령 9.4회, 하사 8회 등이다.
평균 이사비용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08년 262만원에서 2012년에는 344만원, 지난해에는 444만으로 뛰었다. 에어컨 등 가전기기 설치비나 도배 및 장판교체 비용 등은 자비로 부담하기 때문에 가계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고 대부분의 군인이 토로하고 있다.
# 대통령에 항공권 받은 이순진 前합참 45회 이사
군인들의 이사 고충은 문재인 대통령도 인정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8월 현직 대통령으로 처음으로 합참의장 이ㆍ취임식에 참석해 이임하는 이순진(오른쪽) 전 합참의장에게 항공권을 선물했다. 이 전 의장은 42년간의 군 복무기간에 무려 45차례나 이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휴가도 제대로 못 가 평생 부부가 한 번도 해외여행을 못 했다고 한다.
문 대통령은 이 같은 소식을 전해 듣고 “평생을 군에 몸 바친 최고 군인의 전역식을 더욱 명예로운 자리로 만들어 주고 싶었다”며 직접 이임식에 참석했고, 남편이 걱정 없이 나랏일을 수행할 수 있도록 수없이 이삿짐을 싸면서도 묵묵히 내조한 이 전 의장 부인을 위로하기 위해 캐나다 왕복 항공권을 특별선물로 전달한 것이다.
# 군인의 숙명?… 日처럼 합당한 보상ㆍ지원 동반돼야
어찌 보면 이삿짐을 싸는 것은 군인 가족의 숙명일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이 오롯이 한 가정의 희생으로 그쳐선 안 된다. 합당한 보상과 지원이 동반되지 않는다면 속 편히 이삿짐을 챙길 수 없을 것이다. 지난해 말 방문했던 일본 요코스카 미 해군기지의 군인 가족들은 정부의 완벽한 지원 속에 행복하게 병영생활을 즐기고 있었다.
박홍환 선임기자 stinger@seoul.co.kr
2018-01-15 3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