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가 블로그] 말려도 “출마” 권해도 “불출마”…관료들의 ‘총선 밀당’

김동현 기자
수정 2019-12-10 02:35
입력 2019-12-09 21:14
차출 명단에 오른 홍남기·성윤모 ‘손사래’
공천·후속 인사 협상에서 우위 선점 전략

먼저 올여름부터 ‘총선 차출’ 명단에 올라 있는 경제 관료의 대표주자는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입니다. 강원 춘천 출신인 홍 부총리는 자유한국당 김진태 의원에 맞설 ‘필승 카드’라는 게 여권의 평가입니다. 홍 부총리의 성실하고 소탈한 성격이 선거에서 강점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도 있습니다. 실제 지역언론 여론조사에서 김 의원에 앞서는 성적표를 받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지난 5일 홍 부총리는 “경제 살리기에 전념하고 좌고우면(左顧右眄)하지 않겠다”며 출마설을 부인했습니다.
홍 부총리와 함께 거론되고 있는 구윤철 기재부 2차관은 경북 성주 출마설이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업무 능력과 친화력에서 좋은 점수를 받은 구 차관은 참여정부 5년을 청와대에서 근무하고, 끝까지 의리를 지켰다는 평가가 더해지면서 유력한 차출 대상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그런데 정작 본인은 말을 아끼고 있습니다. 또 문재인 정부에서 승승장구하고 있는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꾸준히 제기되는 출마설에 “제 일에 충실하겠다”고 손사래를 칩니다.
반면 3선 의원에 국토교통부 장관을 맡고 있는 김현미 장관 쪽은 분위기가 또 다릅니다. 여권에서는 당내 분위기 쇄신과 물갈이를 위해 중진인 김 장관이 불출마 선언을 해 줬으면 하는 분위기가 없지 않습니다. 그런 이유에선지 김 장관은 국무총리, 대통령 비서실장 하마평에도 빠지지 않고 오르내립니다. 하지만 김 장관은 틈만 나면 ‘고양시 일산 서구’ 출마 의사를 밝히고 있습니다.
일각에선 이들이 ‘불출마’, ‘출마’ 의사를 거듭 밝히는 것은 ‘더 큰 떡을 얻기 위한 밀당이 아니냐’고 해석합니다. 총선 공천과 후속 인사 협상에서 조금이라도 우위에 서려면 속마음을 드러내는 게 유리할 것이 없다는 겁니다. 여권 관계자는 “출마하라고 했을 때 바로 ‘네’라고 하면 몸값이 싸진다. 또 불출마를 권했을 때도 바로 ‘네’라고 답하면 보상이 작아진다”면서 “출마 생각이 있더라도 ‘억지 춘향’으로 보여야 전략 공천을 받기 쉽고, 불출마로 마음을 굳혀도 끝까지 출마 의지를 보여야 이후 자리가 더 좋아진다”고 귀띔했습니다.
세종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9-12-1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