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톡톡] 군인에서 중앙 공무원으로… 책 8권 낸 ‘미래부 칸트’
수정 2017-04-02 17:38
입력 2017-04-02 17:14
김창환 비상안전기획관실 사무관

“마흔다섯이라는 나이에 진급을 못해 갑자기 군복을 벗게 됐어요. 극심한 스트레스와 혼란을 느꼈는데, 지금 생각해 보니 그런 실패가 나를 돌아보는 계기가 됐습니다.”
그는 미래부에서 독일 철학자 칸트와 같은 존재다. 매일 같은 시각 산책을 즐겼던 칸트처럼 오전 7시 30분이면 어김없이 과천정부청사에 배낭을 메고 나타나기 때문이다. 오전 6시 10분에 서울 서초구 방배동 집을 나와 우면산을 거쳐 과천 미래부까지 걸어서 출근한다.
“10년째 날씨가 너무 궂은 날을 제외하고는 산책하는 기분으로 걸어서 출근하고 있어요. 과거 광화문 서울청사에 있을 때도 과천까지 걸어와 통근버스를 타고 출근했었죠. 자연과 벗하며 걸으면서 책에 대한 구상도 하고 생각을 정리합니다. 아주 소액이지만 그렇게 절약한 교통비는 어려운 분들을 돕는 데 쓰고 있어요.”
타고난 근성은 2015년 ‘고비사막 마라톤’에서 진가를 발휘했다. 세계 극한 마라톤대회 중 하나로 7일 동안 필수 장비만을 갖고 고비사막 약 250㎞를 달려야 한다. 참가자들은 식량과 취침 장비, 의복 등 필요한 모든 물품을 짊어지고 달린다.
“마른 침을 삼키며 황량한 고비사막을 달리면 제 거친 마음이 순해질 것 같았습니다. 중간에 장딴지 화상으로 팔 토시를 다리에 감고 뛰기도 했죠. 몽골 주민이 제가 마라톤 중인지도 모르고 오토바이를 타고 지나가다가 태워주겠다고 계속 손짓을 하더라고요. 너무 힘든 상황인데다 아무도 보는 사람이 없으니까 그 유혹을 물리치는 게 가장 힘들었어요.” 김 사무관은 이 대회에서 우승했다. 고등학교 때부터 문학에 관심이 많았다. 사막에 갔던 것도 마라톤하는 사람을 취재하기 위해서였다. 그렇게 낸 책이 소설 ‘차마고도로 떠나는 여인’ 등 8권이다. 유독 자연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썼다.
“나중에 은퇴하고 나면 숲속 생태학교를 하나 짓고 싶어요. 청소년뿐 아니라 성인들도 문학과 자연을 배울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싶습니다. 근데 너무 업무와 무관한 이야기만 해서 일을 열심히 안 하는 줄 오해할 거 같네요. 허허.”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7-04-03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