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일 오전 11시 30분. 교육부 신규 사무관 22명의 눈이 일제히 반짝였다. 점심을 겸한 ‘브라운 백 미팅’에서 허기도 잊은 채 동기들과 서로 토론하며 중요한 사항을 받아적는 모습이 여간 예사롭지 않다.
이미지 확대
올해 1월 1일자로 교육부에 온 신규 사무관들은 오는 8월 20일까지 수습 기간을 거친다. 이들의 교육을 맡은 나는 이들을 어떻게 가르칠지 ‘행복한’ 고민을 했다. 온 국민의 교육을 책임지는 중요 부처로서, 부처 내 직원부터 최고의 마음가짐과 업무능력을 갖추도록 가르치고 나서 책상을 내주고 싶었기 때문이다.
우선 이들에게 1월 2일부터 13일까지 2주 동안 작은 팀을 구성해 부처의 문제들을 고민하고 보고서를 작성하도록 했다. 이들은 이어 1월 16일부터 1주 동안 중앙교육연수원에서 부처의 비전, 기획, 예산, 법령 제정 등을 익혔다. 그리고 지난달 31일까지는 회의결과 보고서부터 기획 보고서까지 멘토가 책임지고 주 1회 과제물을 첨삭하는 ‘기획력 10주 과정’도 거쳤다.
이달부터는 월 1회 현장방문과 브라운 백 미팅을 진행하고 있다. 22개 과에서 ‘열일’(열심히 일함) 중임에도 한 달에 한 번씩 열리는 브라운 백 미팅에서 ‘열토’(열심히 토론함)하는 이들을 보니 마음이 든든해진다.
박현정 명예기자(교육부 운영지원과 사무관)
2017-04-17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